1. 다문화가족의 부모교육
1) 다문화가족의 상호작용 특성
2) 다문화가족 유아의 발달특성
3) 다문화가족의 부모교육 내용
본문내용
(4) 양육스트레스의 증가
다문화가족의 경우에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가 매우 높다. 그 스트레스의 상당부분은 한국어능력의 부족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녀의 학교에 가서 교사와 상담할 때에 소통이 어렵고, 자녀의 알림장에 쓰인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기 어렵다거나 자녀의 숙제를 지도하기 어렵기 때문에 양육스트레스가 높다 (최나야․ 우현경 ․ 정현심 ․ 박혜준 ․ 이순형 , 2009). 실제로 다문화가족 어머니들의 소통능력을 조사했을 때(이순형 등, 2006), 그들의 29%만이 자녀와 충분히 소통이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자녀와의 소통이 어려운 이유로 54.2%가 한국어능력 부족으로 그렇다고 응답했다. 자녀의 숙제를 거의 돕지 못하는 경우는 21.2%에 달하는데 그 역시 44%가 한국어능력의 부족(설동훈등, 2005)을 꼽았다. 이처럼 한국어능력이 어머니 역할을 제대로 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한국어를 원활히 사용하기 어려운 다문화가족 어머니들이 한국어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양육대행자로서 어머니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2) 다문화가족 유아의 발달특성
한국어학습의 민감기에 언어학습의 모델인 어머니의 한국어능력의 부족은 유아기 연어발달을 지연시키는 문제로 드러났다. 자녀의 언어발달에 어머니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학자들은 같은 사실을 보고했다. 어린 유아일수록 언어발달에 미치는 어머니나 주양육자의 영향이 크다는 것이다. 어머니가 유아와 연어활동에 보내는 시간이 길면 유아의 언어발달이 더 향상된다.
참고자료
·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