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지체에서 지적장애로 장애명칭이 바뀐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고, 지적장애 진단 과정에서 적응행동 평가가 중요한 이유와 적응행동의 세 가지 영역(개념적, 사회적, 실제적)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기술을 각각 실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1.02.08
- 최종 저작일
- 2019.09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500원
소개글
"정신지체에서 지적장애로 장애명칭이 바뀐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고, 지적장애 진단 과정에서 적응행동 평가가 중요한 이유와 적응행동의 세 가지 영역(개념적, 사회적, 실제적)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기술을 각각 실례를 들어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장애 명칭 변경의 이유(정신지체에서 지적장애로)
2. 적응행동 평가에 대하여
1)적응행동의 뜻
2)적응행동 평가의 중요성
3)적응행동 평가의 세 가지 영역
가) 개념적 적응행동
나) 사회적 적응행동
다) 실제적 적응행동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지적장애에 대한 인간의 관점과 태도는 18세기 이전에는 암흑 그 자체였다. 의학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지적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비인간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다가 19세기~20세기가 되면서 지적 장애인에 대한 교육과 시설이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1975년 이 후, 그나마 장애인들을 위한 법률과 지원이 확대되어 가고 통합교육이 소개되고 이루어진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동안 지적장애를 여러 용어로 불러왔다. 백치, 치우, 우둔이라든가, 정신박약, 지적열악이라고 부르다가 대체로 정신지체라는 용어를 사용하다가 요즘은 지적장애라는 용어로 통일해 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정신지체를 최근에 지적장애로 명칭을 바꾸게 된 이유를 설명하고 지적 장애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검사에서 적응행동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적응행동 평가 영역에는 몇 가지가 있으며 그 실제 예로는 무엇이 있는지 교재를 주로 인용하며 논해 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장애 명칭 변경의 이유(정신지체에서 지적장애로)
지적장애란 지적 기능성과 개념적 사회적 실제적 적응기술로 표현되는 적응행동 양 영역에서 유의하게 제한성을 보이는 장애로 18세 이전에 시작된다. 이러한 지적장애에 대한 지금까지의 정의가 이루어지기까지 역사적으로 많은 정의가 거듭되어왔다. 19세기 지적장애의 첫 번째 정의를 시작으로 2010년 11차 정의에 이르기까지 그 정의에는 다소의 차이가 보인다. 특히, 2010년 11차 정의에서 정신지체를 지적장애로 장애 명칭을 변경한 것은 특이할 만한 사항이다.
장애 명칭을 변경한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지적장애란 명칭이 기능적 행동과 맥락적 요인에 초점을 맞춘 최근의 전문적 실제에 더욱 부합하며, 사회 생태학적 틀에 근거하여 개별화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논리적인 토대를 제공하였고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덜 공격적인 표현이며 최근의 국제적 용어와 높은 일관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정신지체아 교육, 한사평 교안 내용 참고
안수진(2016.2.),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 특성 분석,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특수교육 석사논문.
장학자료2008(2008.12.16), 진단평가를 위한 특수교사 연수, 경기도 성남교육청.
김다해, 박수진,유미정, KISE-SAB 적응행동검사(ppt자료),중부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