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색 사례와 원리 분석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1.01.28
- 최종 저작일
- 2021.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배색 사례와 원리 분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오방색과 한국 전통 문화
2.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屛風)>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람들은 노란색, 빨간색, 파란색, 흰색, 검은색이 모두 사용된 옷이나 가방 등의 물건을 구매할까? 혹자는 색이 너무 다양하게 많이 사용되어 도드라지고 정신 사납다고 할 가능성이 높은데, 현대 사회에서는 수용 가능한 지적이라 생각한다. 비슷한 계열이나 비슷한 채도의 색을 주로 사용하여 소위 ‘세련된’ 색의 배합을 주로 한 상품이나 인테리어가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이다. 19세기부터 시작된 서구 열강들의 강압적인 문호 개방을 기점으로 서구권 문물이 밀려들어오기 시작했다. 이는 중국으로 건너가 중국에서 볼 수 있었던 서구 문물보다 당시 사람들을 더욱 자극시켰다. 서구권에서 수입된 물건은 ‘신문물’이라 불렸고 이러한 풍조는 21세기까지 이어지게 된다. 색의 배합도 마찬가지로 서양에서 많이 쓰이는 편안하고 조화로운 방향을 선호하게 되었다.
색의 배합은 매우 주관적일 수도 있지만 그 기저에 깔려있는 문화적 성향의 배경은 한국과 서양이 매우 다르다. 서양에서는 색에 대한 접근을 광학 분석적으로 시작했으며 가시적인 면모를 중시한다. 반면 한국의 전통적인 색에 대한 관점은 철학적이며 개념적이라 색이 시사하는 바가 다르다. 앞서 살펴보았던 색들을 한 번에 배합한다면 오늘날 상당히 ‘촌스런’것으로 여겨질 수 있는 소지가 다분하다.
참고 자료
이인숙. 2002. “한국의 전통적 美意識과 五方色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희덕 (1995)“음양오행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3032
“소장품 50선 - 일월오봉도”. 국립고궁박물관. https://www.gogung.go.kr/major50View.do?cultureSeq=00006975O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