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문헌 고찰
1. 심장의 구조와 기능/질병의 정의
2. 병태생리 및 원인
3. 증상
4. 진단 및 검사
5. 치료
6. 경과 및 합병증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진단검사 종류 및 결과
3. 처치내역(시술, 약물 포함)
4. 간호진단 및 간호계획과 간호중재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대상자의 전반적 질병의 과정 요약
여분의 체액이 심장과 심장을 둘러싸는 심장막 사이에 고여 있는 상태. 여분의 액체는 심장에 압박을 주고 정상적으로 혈액을 펌프질하는 것을 방해한다. 림프관 또한 막힐 수 있고, 이로 인해 감염이 일어날 수 있다. 심장막 삼출은 암 또는 암치료, 감염, 부상, 자가면역질환, 갑상선 또는 신장질환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Ⅱ. 문헌 고찰
1. 심장의 구조와 기능/질병의 정의
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의 위치는 세로칸의 중앙과 흉곽의 왼쪽에 있으며, 아래쪽에는 가로막이 있고, 가로막 위에 심장끝이 앞쪽을 향하고 있다. 1분간 72회 정도로 박동하고, 1회 70mL 정도의 혈액을 내보내 1분당 5L정도, 하루에 약 7,000L 이상의 혈액을 분출한다. 심장조직은 심장바깥막, 심근, 심장내막으로 이루어져있다.
심근의 정기생리적 특성은 심박수와 리듬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에는 자발성, 흥분성, 전도성, 수축성 및 불응성 등이 있다.
정상 성인의 평균심박출량은 1분간 4~8L이다. 정상적으로 심장 은 매 박동 시 이완기말 혈액량의 약 2/3(70mL)를 분출한다.
2) 질병의 정의
원래 두 심낭막은 거의 붙어있는데, 이 두 심낭막 사이에 수분이 쌓이는 현상을 심낭삼출이라고 하며, 삼출액이 증가하면 심장, 상대정맥, 하대정맥 등이 압박되어 심박출량이 감소하고 심장으로의 혈액 유입이 제한받게 된다.
2. 병태생리 및 원인
염증으로 생긴 심낭 내의 삼출물이 심장을 압박하여 심박출량을 감소시켜 심부전을 초래한다. 장액섬유성삼출물이 100~3000mL까지 축적될 수 있다. 심낭의 지나친 장액 축적은 심장의 수축과 이완을 제한시키기 때문에 심박출량과 조직관류가 감소된다. 즉각적인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쇼크와 사망이 초래된다.
감염원인으로는 바이러스(coxsackievirus, hepatitis virus), 세균성(폐렴구균,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Nisseria, Legionella), 결핵, 진균(Candida), 기타(매독, 기생충, 원충)가 있다.
참고자료
· 황옥남 외 (2019), 『성인간호학 상권 제 7판』, 현문사, p624-631, p728-729
· 박금주 외 (2019),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p245
· 이동숙,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포널스 출판사(2016), 부록
· 황옥남 외 (2019), 『성인간호학 하권 제 7판』, p589-59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