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화기계 구조와 기능
2. 소화기 장애 대상자 간호사정 및 간호중재
3. 소화기계 장애 대상자 간호
4. 소화기계 수술환자 간호
본문내용
소화기계 위장관의 구강은 점막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입술. 뺨, 구개와 혀. 치아와 침샘들로 이루어져 있다. 입술과 뺨은 골격근으로 외부는 피부에 의해 덮여 있으며 씹는 동안 음식을 입안에 머물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구개는 경구개 (단단 입천장)와 연구개(물렁 입천장)로 이루어진다. 경구개는 입천정의 뼈를 덮고 있으며 혀로 음식을 밀어 넣는 단단한 면이다. 경구개는 목젖이라 불리는 주름과 같은 구강의 뒤쪽에서 끝난다. 구강은 치아를 통한 저작운동, 타액분비(1~1.5L/일), 연하의 기능을 담당한다.
식도는 직경 2cm, 길이가 25cm 가량의 긴 근육성 관으로 위로 음식이 지나가는 통로이다. 후두개는 후두의 맨 위쪽을 덮고 있는 연골덮개로 음식을 삼키는 동안 음식이 후두로 가는 것을 막아준다. 식도 상부는 음식물이 통과할 때 수축과 이완을 하고 식도하부는 음식물을 위(stomach)쪽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식도에는 상부 식도 괄약근과 하부 식도 괄약근이 있는데 하부 식도 괄약근은 연하, 트림, 구토를 할 때를 제외하고는 수축상태에 있어 산성 유미즙이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 점막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위(stomach)는 좌상복부에 위치하며 위쪽 끝은 식도와 연결되고 아래쪽 끝은 소장과 연결된다. 정상적인 위의 길이는 약 25cm(10인치)로 용적은 1.500mL이며 약 4L의 음식과 수분을 보유할 수 있을 만큼 확장 가능한 팽창성 기관이다. 위는 분문부, 위저부(fundus), 몸체(body), 유문부(pylorus)로 나눌 수 있다. 위는 소화액을 분비하고 음식물을 저장하며 용해시키는 작용을 하고 위장운동을 조절하는 것을 돕는 다양한 분비세포가 있는데 분문샘은 점액을 분비, 유문샘은 G세포에서 점액과 가스트린을 분비, 주세포는 주로 펩시노겐를 분비하여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분해한다. 벽세포는 위산(염산)을 분비하여 위액을 산성으로 유지하고 장에서 B12 흡수에 필수적인 내적인자를 분비하여 매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