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실천현장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최초 등록일
- 2021.01.26
- 최종 저작일
- 2021.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과목: 사회복지실천론
주제: (3주차3교시)지역사회복지실천현장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구,지역사회복지협의체)에 대하여 조사하고 지역사회보장협의체(구,지역사회복지의체)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포함하여 과제를 작성하시오.
*지역사회복지협의체가 지역사회보장협의체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의의
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배경
2)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정의 및 개념
3)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1) 지역성
(2) 참여성
(3) 협력성
(4) 통합성
(5) 연대성
(6) 예방성
2.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나아가야 할 방향
(1) 협의체 강화
(2) 정치적 중립성
(3) 생산적 리더쉽 발휘
III. 결론 및 의견
본문내용
I. 서론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2005년 정부가 추진한 지방분권을 통하여 지방에서의 일을 지자체가 직접 나서서 민간과 함께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대포적인 민간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지역복지 활성화 등을 포함한 모든 문제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며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어떠한 일을 맡고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번 과제를 통하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정의 및 개념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앞으로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어디인지 논의해보려 한다.
II. 본론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의의
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배경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2005년 지방자치제도를 통한 지방분권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국고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던 사회복지와 관련된 사업 중 일부의 국가보조사업을 지방으로 이양하며, 14년도까지 분권교부세를 통하여 재정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각 지자체는 과거의 중앙부처의 기획을 집행하던 관레에서 벗어나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사회복지 계획 및 수립, 그리고 운영 등과 이에 필요한 지역사회 안의 네트워크 구축과 자원을 발굴하고 연계하는 기능이 중요한 지자체로의 과제가 새롭게 대두되었다.
이러한 시대적인 흐름에 맞추어 2003년 7월에 ‘사회복지사업법’을 개정하고 이에 지역사회복지보장협의체의 설치운영과 함께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을 동시에 의무화 하였고, 지역사회복지의 활성화의 기반을 마련하고 공고 및 민간분야에서 보건복지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시, 군, 구에 공급자 및 수요자 간 연계협력기구인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에 사회복지서비스 외에 보건의료와 교육 및 고용, 주거 등의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포괄하는 사회서비스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참고 자료
이인재 2005 나눔의 집 지역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
유동철, 홍재봉 2016 양서원 지역사회복지론
우국희, 성정현, 2016 신정 사회복지실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