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근위축성 측삭경화증(=루게릭병)
1) 정의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치료
5) 간호과정
4. 중증 근무력증
1) 정의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치료
5) 간호과정
5. 알츠하이머병
1) 정의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치료
5) 간호과정
본문내용
정의
Pakinson’s disease(PD) : 중뇌 흑질의 도파민 신경 변성으로 흑질-선조체의 도파민 신경로의 이상이 생겨서 도파민 운반체의 소실이 발생하는 신경계 퇴행성 질환이며, 이 병은 서서히 시작되어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병태생리
흑질에 있는 신경세포들은 dopamine이라는 물질을 생산하는데, 이 물질은 운동을 조화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신경 회로에 윤활유 같은 역할을 한다. dopamine이 정상 수준 보다 60-80%이상 줄어들면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기 때문에, 초기 증상이라도 이미 병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흑질의 멜라닌 함유 도파민 신경 세포의 감소(상대적으로 증가된 아세틸콜린의 과활동)
•흑질에서 탈색소 관찰
•흑질 세포질 내 시누클레인 함유 호산구성 단백질의 응집체 루이소체 형성(dopamine과 acetycholine간의 불균형으로 신경 흥분 과잉 발생한다.)
증상과 징후
•안정시 진전(resting tremor) : 가장 초기에 보이는 증상으로 손과 팔에 주로 나타난다.(일측성에서 양측성으로 진행) 손으로 알약을 굴리는 듯 한 움직임을 보이며 운동 중에는 감소, 정신적인 긴장, 흥분 상태에서 악화된다.
•강직(rigidity) : 근육의 긴장도 증가로 유연성이 없어지고 몸이 뻣뻣하다고 호소한다. 목/어깨 등 몸통 쪽 근육에 영향을 주며 점차 얼굴, 팔, 다리까지 경직이 나타난다. 에너지 소모와 피로의 원인으로 환자의 팔을 굽히려고 할 때 낫 파이프를 굽히는 것 같이 균일한 저항이 근육에 느껴지는 강직(톱니바퀴 경직), 경직되고 가면같은 안면 표정이 나타난다. •운동불능(akinesia)또는 운동완서(bradykinesia) : 몸의 움직임이 느리고 그 운동의 진폭이 작아지는 상태로 일상 생활 활동(세수, 옷입기, 화장 등)시간이 지연되고 보행할 때 팔을 흔들지 않고 걸음걸이 폭이 짧게 하면서 질질 끄는 종종걸음, 동작의 시작이 어려움이 나타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