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족구도
2. 상호작용 관계
3. 화목한 가정을 이룰 수 있는 대안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계도를 통해 상호작용 관계를 살펴봤을 때 먼저 아버지와 어머니는 친밀 관계이며 평소 생활에서도 큰 갈등 없이 항상 가족 간의 일에 대해서 의견을 주고받고 서로 계속해서 의사소통을 하고 있기 때문에 친밀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나와 부모님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나는 어머니와는 친밀 관계지만 아버지와는 소원 관계인 것을 알 수 있는데 어머니와는 어렸을 때부터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고 심리적으로도 어머니를 통해서 많은 안정을 했었다. 현재에도 어머니와 자주 만나고 있고 계속해서 소통을 하고 있기 때문에 친밀 관계로 표기하였다.
그러나 아버지와는 소원 관계로 표기하였는데 이러한 이유는 아버지와 큰 갈등은 없지만 친밀하게 서로에 관한 이야기를 주고받거나 감정의 큰 교류가 이루어졌던 경험이 없었다. 이로 인해서 어머니보다는 의사소통이 적고 조금은 서먹서먹한 관계에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소원 관계로 표기하였다.
참고자료
· 최세영, 「인간관계론」, 정민사, 2017.06.25.
· 김형태, 「결혼 가족 그리고 인간관계」, 한남대학교출판부, 2004.01.15.
· 한민열 외 4명, 「인간관계와 심리」, 백산출판사, 2014.08.30.
· 송정애, 「가족상담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0.03.0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