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북한 이탈주민과 초국적 가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대상 및 방법
Ⅱ. 본론
1. 북한 이탈 주민 일반 분석
1) 북한 이탈 주민 국내 현황
2) 북한이탈 주민 가족 구성 현황
2. 조선적 이주와의 비교 분석
1) 경제적 이주와 탈경제적 이주
2) 가족 전략적 이주와 생존 전략적 이주
3) 친정식구 연결망과 친구 연결망
3. 북한이탈주민의 초국적 가족
1) 북한 가족과의 관계
2) 중국 가족과의 관계
3) 중혼으로 인한 복잡한 초국적 가족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세계화로 인한 불균등한 발전이라는 틀 속에서 국가-노동시장 간의 관계로 이주의 여성화가 이뤄지고 있고, 여성-선별적인 이주 노동으로 인해 유연한 시민권을 가진 초국적 가족이 형성되고 있다. 빠레나스(Parrenas, 2001)는 이주 여성들이 국가 차원에서는 부분적 시민권을, 노동시장 차원에서는 모순된 계급이동을, 가족의 측면에서는 초국가적 가족 현상을, 이주민 공동체에서는 무소속감 현상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을 총체적으로 탈구적 상황이라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은 돌봄 노동 시장이 개방된 1세계 국가나 국민소득이 높은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 발생하는 반면 아직까지 돌봄 노동 시장 개방이 제한적인 한국에서는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는다. 한국에 유입된 이주 여성 대부분이 공장이나 청소용역 업체와 같은 단순 노동에 종사하고 있다. 그러나 초국적 가족 현상은 동일하게 나타난다.
한국에 유입된 이주여성들은 크게 결혼이주를 통해 유입된 동남아시아 여성 및 중앙아시아 출신 여성, 친척 방문 비자를 통해 들어온 조선족 여성 두 부류로 구분할 수 있다. 결혼이주여성들은 대부분 미혼인 상태에서 들어오기 때문에 초국적 가족의 성격이 두드러지지 않지만 간혹 모국에서 결혼하여 자녀를 둔 여성이 결혼이주를 통해 한국에 와서 한국 남성 사이에 또 자녀를 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현지인 남편(이혼 여부와 상관없이), 현지 자녀, 결혼이주 여성, 한국 남편, 혼혈 자녀로 이루어진 초국적 가족이 형성된다. 반면 조선족 여성은 대부분 친척 방문 비자와 결혼을 통해 한국에 들어오는데, 경제적인 이득을 위한 가족 전략의 차원에서 결정된 이주이다(이혜경 외, 2006). 따라서 조선족 여성에게 장기간의 가족 이산으로 인한 초국적 가족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결혼이주와 노동이주로 인한 초국적 가족 현상 외에도 또 다른 형태의 초국적 가족이 한국에 존재하는데 바로 북한이탈주민이 주체가 되는 초국적 가족이다.
참고 자료
권태환, 2005, 중국 조선족 사회의 변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선화, 2013,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적응이슈와 가족복지실천 방안,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김성경, 2012,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공간과 사회 제22권 2호
김영숙 외, 2014, 형제의 땅에서 낯선 이방인으로 살아가기, 사회복지연구 vol. 45(1)
김유정, 2011, 북한이탈주민 재결합 가족에 대한 지원방안, 통일연구
김현경, 2012, 북한이탈주민의 결혼행복감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vol38, no1
민주평통, 2014, 북한이탈주민 정착 지원 현황
소성규 외, 2011, 북한이탈주민의 가족관계 등록과 중혼문제해소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향, 한 국법정책학회
윤여상, 2001, 남북화해·협력시대 북한이탈주민의 역할과 사회적응, 한국동북아 논총
윤인진 외, 2004, 통일시대에 대비한 남북한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이금순 외, 2003, 북한이탈주민 적응실태 연구, 통일연구원 협동연구과제 보고서
이원웅 외, 2012, 해외체류 북한이탈주민 아동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이혜경 외, 2006,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 한국사회학 제40집 5호
장혜경 외, 2000, 북한이탈주민가족의 가족안정성, 사회적응과 여성의 역할, 한국여성개발원
통일부, 2013,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업무 편람
Parrenas, 문현아 역, 2001, 세계화의 하인들, 여이연이론
북한인권정보센터 http://nkdb.org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http://dongposarang.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