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Benign neoplasm of ovary & Severe pelvic adhesion_여성건강간호학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 최초 등록일
- 2021.01.09
- 최종 저작일
- 2020.10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A+ Case Study] Benign neoplasm of ovary & Severe pelvic adhesion_여성건강간호학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력
2. 치료계획과 치료방법
3. 질병연구 : 난소낭종
4. 간호과정
5. 출처
본문내용
3. 질병연구 : 난소낭종
⚫질병의 정의
-난소의 조직에서 발생되는 양성 종양
⚫병태생리 및 원인
- 종종 난소의 기능적인 변화에서 발생함
- 유피낭포는 비정상적인 배아성 표피에서 발생하기도 함
- 가임연령 중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음. 50세 이상의 여성에게서 발견되는 경우 악성일 가능성이 높음
⚫임상증상
-무증상이거나 약간의 골반통
-불규칙한 월경
-압통이 있는 덩어리의 촉진
-파열시 급성통증과 민감성이 나타나 충수염이나 자궁외 임신과 혼동되기도 함
⚫진단방법
-크기와 특성 파악을 위한 골반초음파
-자궁외 임신과의 구별을 위한 임신검사
-의심이 가는 낭종은 생검(수술 시)을 함
⚫치료
-5cm미만의 낭종은 호르몬성 피임약을 1~3개월 정도 투약해 억제함
-크거나 파열된 낭종은 복강경이나 개복술을 함
⚫간호사정
-성생활의 과거력, 피임법, 자궁외임신을 감별하기 위한 골반 내 염증 질환의 과거력을 조사함
-최근 월경에 관한 월경력 조사(불규칙한 출혈과 피가 묻어나는 것은 포상낭종이며 장기간의 출혈 후 지연된 월경은 황체성 낭종의 징후임)
-복부를 검진해 압통이나 반동성 등을 검사함
⚫간호중재
-통증 완화
:처방된 진통제를 사용한다.
처방된 경우 호르몬성 피임약의 적절한 투여법과 부작용을 지도한다. 낭종이 없어졌는지 매월 검사한다.
무거운 것을 들거나 힘든 일, 성적 접촉은 통증을 유발할 수 있음을 알려준다.
<중 략>
2) 간호과정
심한 유착으로 인한 통증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D)
“무통주사 새로 처방해주면 안 돼요?”
“화장실 갈 때 너무 아파서 힘들어요.”
“움직이기 힘들어요.” “움직이면 아파요.”
“통증이 사라지지 않고 자꾸 있어요.”
“아랫배가 전체적으로 아파요.”
“배에 가스가 차고 아파요.”
객관적 자료(O.D)
▪전화할 때 상대방에게 지금 너무 아프다는 말을 함
▪병동 보행 시 옆에 있는 보호자에게 통증이 있다고 말함
▪NRS 사정 결과 꾸준한 통증이 있음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네이버 건강백과 (의약품사전)
Sigma Theta Tau Lambda, Alpha Chapter-At-Large 병원간호사회, (2009), 최신 임상간호매뉴얼Ⅲ, 현문사
이강이외, (2918), 건강사정, 현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2016),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2016),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