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체 내용 요약
2. 문제제기
1) 막걸리 수출 현황
2) 국내 막걸리 제조 업체 대상 설문 조사
3) 국가 선정
4) 선정국 관세
3. FTA활용 비즈니스 모델 제안
1) 개요
2) 현재 생막걸리 수출 방식
3) 관세율 인하를 통한 수출 확대 모델
4) 베트남 거점 글로벌 밸류 체인(GVC) 활용 모델
4. 기대효과
1) 관세율 인하를 통한 수출 확대 모델
2) 부가가치기준을 활용한 베트남 거점 GVC 모델(아세안)
3) 세번변경기준을 활용한 베트남 거점 GVC 모델 (일본)
4) 유통비 절감 및 유통문제 해결
5. 결론
본문내용
FTA 비즈니스 활용 국가 선정
- 일본은 부동의 막걸리 수입 1위 국가
- 막걸리의 對일본 수출이 지속적으로 감소. 이를 다시 부흥시키고자 함.
- 베트남은 빠른 속도로 막걸리 수입국 상위에 랭크되었으며, 2019년 수입 4위
- 특히 베트남은 ASEAN 중에서도 막걸리 수입 1위이며 현재 국순당을 비롯한 많은 업체들이 최근 진출을 도모함.
→ 이를 바탕으로 일본과 베트남 두 국가를 FTA를 활용해 수출을 진흥시키는데 적합한 국가로 판단
참고 자료
김인신, 이주석, 조민호 (2012). 막걸리 소비자의 구매동기, 선택속성 및 소비자 만족 간 관계 분석. 관 광연구논총, 24(3), 57-8
소순영. (2010). 막걸리 브랜드이미지 향상을 위한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3), 245-254.
여수환, 정용진 (2010). 국내 막걸리 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안. 식품과학과 산업, 43(4), 55-64
윤미향, 조지은, 김다미, 조윤정, 김경희, 육홍선 (2010). 버찌 분말 첨가에 따른 시판용 막걸리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학술발표대회논문집, 105-105
이승인, 안욱현, 김소현 (2015). 막걸리 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무역연구, 171-193
조성제, 박현희. (2011).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부문의 경쟁력 향상방안 연구. 통상정보연구, 13(3), 249-274.
한기문 (2020). 한류를 활용한 전통주 해외진출방안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85, 261-278
김재홍(2016), 글로벌 가치사슬 활용과 과제: 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 KOTRA Global Market Report 15-064
박지은, 제현정 (2016), 무역업계가 알아야 할 FTA 원산지 누적조항의 비교 및 시사점,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어명근, 정대희, 이지용, 오세익 (2010). 전통주 수출시장 확대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1-124
이병영, 이은경, 김기창 (2012). 기능성 성분 함유 막걸리 제조용 반제품의 제조방법.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87-87
홍장우(2018), 2017년 막걸리 국내생산 및 해외시장 동향, 농식품수출정보 2018-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