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2. 문헌고찰
3. 간호사례
4. 검사실 자료
5. 진단검사
6. 투약
7. 간호문제 목록 및 우선순위
8. 간호과정
9. 참고문헌
본문내용
1.정의
C-section 이라고도 불리는 제왕 절개는 수술 장에서 마취를 한 후 산부인과 전문의사가 집도를 하여 산모의 복벽을 절개하여 배를 열고 복강 내에 있는 자궁의 벽을 절개한 후 아기를 꺼낸 다음에 절개한 부위들을 다시 실로 꿰매어 봉합하는 수술로, 질을 통한 분만이 불가능하거나 권장되지 않을 때 수술을 해서 아기를 낳는 것을 말한다. 제왕 절개는 종종 사전에 계획을 세워서 시행하기도 하지만, 응급으로 시행할 수도 있다.
2. 제왕절개가 필요한 경우
* 제대 탈출(Prolapsed cord) – 진통 이전, 또는 진통 중에 양막이 터지고 태아가 분만되기 이전에 탯줄이 질 내로 빠져 나오는 산과적 응급 상황.
* 전치태반(Placenta previa) – 태반이 산도 또는 질로 이어지는 자궁경부의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덮고 있는 것.
* 태반 조기박리(Abruptio placentae) – 태아가 분만되기 전에 자궁으로부터 태반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떨어져 나오는 것.
* 아두 골반 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 태아가 산도에 비해서 너무 크거나 산모의 골반 뼈와 산도 내에서 제대로 자리하고 있지 못한 경우.
* 둔위 분만(Breech birth) – 보통의 머리가 아래로 있는 자세 대신에 엉덩이나 발이 가장 먼저 위치하는 자세.
* 다태 임신(Multiple pregnancies) – 쌍둥이 임신에서 일부의 경우는 질식 분만을 할 수 있지만, 3명 이상의 임신인 경우에는 제왕 절개가 보통 시행된다.
* 태아 곤란증(Fetal distress) – 진통 중 지속적인 비정상 태아심박동 패턴으로서 태아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 모체 질환 – 심장 질환이나 당뇨병과 같은 질환.
* 전자간증과 자간증(임신 중독증) – 증상에는 심한 고혈압, 단백뇨, 발작이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