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인도철학, 상키야 철학, 베단타 철학, 해탈론, 중심내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상키야 철학과 해탈론
2. 베단타 철학 중심내용
본문내용
1. 상키야 철학과 해탈론
상키야 철학은 ‘수를 세는 자’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며, 수를 중시하여 세계를 25원리(tattava)로 설명한다 하여 수론이라고도 불린다. 상키야 철학은 카타 우파니샤드, 슈베타슈바타라 우파니샤드, 마하바라타, 해탈법품, 바가바드 기타 등의 고대 문헌들에 나타나 있어 인도의 철학 학파들 중 가장 빠른 시기에 형성되었다고 간주된다. 전통적으로 카필라(Kapila)라는 기원전 4세기경의 현자를 원조로 하여 그의 제자들을 통해 전승되었다. 현존하는 상키야 철학의 고전 철학서 중 손꼽히는 것은 이슈바라크리슈나의 수론송이다.
상키야 철학은 삶은 고통으로 본다. 이는 불교와 같으며 이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에 주요한 목적을 두고 있다. 인간의 심리 현상을 관찰하여 세계를 파악하고 일원론적인 해석을 피한다. 인간의 영원한 자아를 푸루샤(purusa)라고 하여 그 실재를 인정하고 있으며 세계의 모든 존재를 정신과 물질이라는 두 가지 원리로 설명한다. 여기서 물질은 프라크리티(prakrti)라고 불린다. 프라크리티는 만물의 모태와 같은 것으로 푸루샤를 제외한 모든 것이 그곳에서 발전되어 나온다.
<중 략>
2. 베단타 철학 중심내용
베탄타(Vedanta) 철학이란 힌두교의 정통 육파 철학 중 하나로 ‘베다의 목적’ 혹은 ‘베다의 끝(anta)’이라는 의미다. 베단타라는 단어는 우파니샤드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하나, 베단타는 베다 중에서도 우파니샤드를 중시하여, 함축적인 우파니샤드의 사상을 해석하고 발전시켜 주석을 달고 체계화한 철학이다. 때문에 그 폭이 넓으며 해석에 따라 여러 학파로 나뉜다. 또한, 여러 철학 가운데서도 가장 많은 추종자를 가진 철학으로 압도적인 활동과 영향력을 가진 철학이기도 하다.
베단타의 근본이 되는 경전으로는 우사니샤드, 바가바드기타, 브라마경이 있다. 상키야 철학이 이원론적인 세계관을 가진 것과 반대로 베단타 철학의 세계관은 일원론적인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참고자료
· 인도철학사(개정판) , 저자: 길희성 , 출판: 소나무, 제 7장 109p-126p, 제17장, 18장 233p-266p
· 위키피디아 베단타철학
· https://ko.wikipedia.org/wiki/%EB%B2%A0%EB%8B%A8%ED%83%80_%ED%95%99%ED%8C%8C
· 베단타 철학 블로그 글.
· http://cafe.daum.net/daman1203/TBHs/48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