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원 첫 학기 수업이었으므로 못 아서 어서에 대한 문법 관련 자료를 한데 모아 놓은 정도의 수준입니다. 총 8페이지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못
'못'은 동사 앞에 사용되어 그 행동을 할 능력이 없거나 그 행동을 할 만한 상황이 아님을 나타낸다.
1) 가: 로라 씨, 일요일에 수영장에 갈까요?
나: 미안해요. 저는 수영을 못해요.
2) 가: 이번 주 일요일에 영화를 볼 거예요?
나: 아니요, 못 봐요. 월요일에 시험이 있어요.
Tip) 별로, 거의 전혀
'별로, 거의, 전혀' 뒤에는 '안/못'과 같은 부정 표현이나 '없다'가 온다.
-아서/어서1
'-아서/어서'는 동사나 형용사 뒤에 붙어서 앞의 내용이 뒤에 내용의 이유가 됨을 나타낸다.
1) 가: 치엔 씨는 요즘 배드민턴을 자주 쳐요?
나: 아니요, 좀 바빠서 가끔 쳐요.
2) 가: 오늘 수업에 왜 늦었어요?
나: 아침에 늦게 일어나서 늦었어요.
「부사」
((주로 동사 앞에 쓰여))
•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을 할 수 없다거나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말.
¶ 술을 못 마시다/초등학교도 못 마치다/잠을 통 못 자다/그는 아무도 못 말린다./금구에서 전주까지는 사십 리가 좀 못 되었다.≪유현종, 들불≫
【<몯<용가>】
못-하다 [모ː타-]
[Ⅰ]「동사」
【…을】
• 어떤 일을 일정한 수준에 못 미치게 하거나, 그 일을 할 능력이 없다.
¶ 노래를 못하다/술을 못하다.
[Ⅱ]「형용사」
• 「1」【…보다】비교 대상에 미치지 아니하다.
¶ 음식 맛이 예전보다 못하다./건강이 젊은 시절만 못하다.
• 「2」((‘못해도’ 꼴로 쓰여))아무리 적게 잡아도.
¶ 잡은 고기가 못해도 열 마리는 되겠지./아무리 못해도 스무 명은 족히 넘을 것이다.
[Ⅲ]「보조동사」
((동사 뒤에서 ‘-지 못하다’ 구성으로 쓰여))
• 앞말이 뜻하는 행동에 대하여 그것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그것을 이룰 능력이 없음을 나타내는 말.
¶ 눈물 때문에 말을 잇지 못하다/바빠서 동창회에 가지 못하다/배가 아파 밥을 먹지 못하다/성우는 어지럼증 때문에 자신을 가누지 못하고 바닥에 누워 머리를 끄덕였다.≪이원규, 훈장의굴레≫
참고자료
· 세종한국어 2과
· 국립국어원표준국어대사전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2
· 온라인 가나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