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보장_성인간호학2실습_외과병동_ORIF_case study_완벽 진단5, 과정3"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 근골격계 간호사정
2) 골절
2. 간호력
3. 간호과정
1) 인적사항
2) 활력징후
3) 건강양상 사정
4) 진단 및 계획을 위한 자료
5) 간호진단, 중재 및 평가
4.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A. 근골격계 간호사정
Ⅰ. 방사선 검사
⑴ Myelography (척추촬영술)
①목적
척수종양(cord tumors), 뇌막종양(meningeal tumors), 전이성 청수종양, 추간원판 탈출증, 관절뼈의 돌기(arthritic bone spurs)등을 발견할수 있다. 그리고 전체 척추관(요추에서 경추까지)을 검사할 수 있다. 이 검사는 심한 요통환자에게 적용하거나 손상이나 질병의 위치상 척추관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는 국소화된 신경과 징후가 있는 환자에게 적용한다.
②검사 전 간호중재
㉠ 검사 중의 구토를 피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검사 전 약 4시간 동안 음식과 수분 섭취를 금지시킨다.
㉡ 조영제가 척주관을 채워서 원하는 부위를 적절히 볼 수 있도록 검사 중에 침대머리를 위로 기울이거나 아래로 기울이게 될 것임을 환자에게 알려준다.
③검사 후 간호중재
㉠ 검사 후 적절한 환자의 체위는 사용된 조영제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구체적인 체위는 방사선과 전문의와 상의한 뒤 의사가 처방해야 한다.
㉡ 환자에게 뇌막자극 증상 및 징후가 나타나는지 관찰한다.(발열, 경부강직, 후두부위, 두통, 광선공포증등)
㉢ 환자의 활력징후 및 배뇨 능력을 관찰한다.
참고자료
·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2018
· 김금자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제 3판, 현문사, 2013
·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7
· 네이버 지식백과] 골절 [fracture]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smile86/22109106253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