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경미․김항원, 제주도 초등사회과 지역화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 백론논총 제7권 제1호, pp25-47
· 강정희, 2005, 초등 지역이해교육에서 위치와 영역 파악의 중요성 -제주도 사례로-, 지리과교육 8, pp143-162
· 강창숙, 2004, 세계적 이슈-중심의 지리 탐구 학습, 지리과교육 6, pp147-161
· 강창숙, 2005, 영국의 국가교육과정에서 시지하는 사고기능과 TTG전략(1), 대학지리학회지 제40권 제1호, pp96-108
· 김일기, 2001, 지리학의 주요 개념에 대한 교수-학습, 지리과교육 3, pp71-80
· 김진국, 2004, 교사들이 인식한 지리과 교육과정 목표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1), pp45-60
· 남상준, 2004, 지리교육 내용의 구성 원리, 지리교육과 6, pp19-29
· 남호엽, 2005, 지리교육에서 장소학습의 의의와 접근 논리, 사회과교육 제44권 제4호, pp195-210
· 류재명, 2002, 학생의 일상생활경험과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는 지리수업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 학회지 10(3), pp1-16
· 류재명, 2002, 일상생활 지리의 내용 설정에 관한 문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pp1-5
· 류재명, 1991, 우리의 삶터를 아름답게, 한울출판사
· 민 윤, 2001, 교사지식의 구성주의적 접근 : 교수내용지식의 특성에 대한 이해, 사회과교육연구 제8호, pp171-187
· 박승규․김일기, 2001, 일상생활에 근거한 지리교과의 재개념화, 대한지리학회지 제36권 제1호, pp1-14
· 서태열, 2005, 지리교육학의 이해, 한울출판사
· 송종현, 1997, 초등사회과 지리영역과 기본개념, 교육논총 제14권 제1호, pp311-334
· 이경한, 2003, 미국 초등학교 사회과 지리교육과정의 내용 분석 -텍사스 주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제17집 제2호 pp79-92
· 이기봉, 2005, 시간과 지리 : 시간에 대한 인식의 역사와 시간지리학의 탄생, 문화역사지리 제17권 제3호, pp101-112
· 이기봉, 2005, 지역과 공간 그리고 장소, 문화역사지리 제17권 제1호, pp121-137
· 이영민, 1999, 지리교육의 기본 개념 : 지리교사들의 인식과 재정립 방향의 모색, 대한지리학회지 제34권 제3호, pp281-293
· 장의선․김일기․이민부․박승규, 2002, 지리과 생활중심 교수-학습의 의미와 실제, 대한지리학회지 제37권 제3호, pp247-261
· 조성욱, 2002, 지리교육내용의 표준설정 방법 -지적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제37권 제3호, pp276-291
· 한병선․신중성, 1999, 지리교육의 실제,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