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북한이탈주민적응의 남한 사회적응_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 '하나원' 분석을 중심으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북한에서 망명하거나 타국을 거쳐 국내로 들어온 '북한이탈주민'은 북한에 주소, 직계가족, 배우자, 직장 등을 두고 있는 사람으로서 북한을 벗어난 후 외국 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사람)을 말하며, 2005년부터 사용했던 북한이탈주민이라는 용어가 모든 탈북민을 온전히 포괄하지 못한다는 비판에 따라 2008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북한이탈주민은 2017년 6월 통일부 통계에 의하면 3만 명을 넘어섰다. 이들이 남한으로 발을 딛는 이유는 빈곤, 북한 체제에 대한 불만, 자유의 갈망 등으로 다양하다. 한민족이지만 분단 70여년의 세월동안 남북한은 많은 것이 달라졌다. 문화적 이질감, 경제적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증가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사회 적응은 중요하다. 황서목, 원효헌 (2017). 북한이탈주민이 인식한 하나원 교육과 남한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터뷰 내용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9(4), 1277-1288
뿐만 아니라 이들의 대부분이 60세 미만이며, 이들은 사회의 구성원으로 활발한 정치, 경제, 사회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연령이기에 체계적인 교육 제공은 더욱 중요하다. 급증하는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겪는 적응의 문제는 경제, 문화, 심리, 사회관계에서의 적응이 대표적이다.
참고 자료
황서목, 원효헌 (2017). 북한이탈주민이 인식한 하나원 교육과 남한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터뷰 내용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9(4), 1277-1288
최승호 (2010). 북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통합 방안. 정치정보연구, 13(1), 161-190
김정규, 이상하, 이린아, 김정한, 신지영, 이동훈. (2014).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하나원 거주 북한이탈주민들의 심리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자아개념, 사회성, 충동성, 불안과 우울을 중심으로, 18(1), 89-103.
전영선 (2003). 탈북난민 정착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보호시설 ‘하나원’을 중심으로). 75-79.
배준우 기자. [트라우마에 우는 탈북민 ①] "총격 악몽에 북송 공포"…14%는 '극단적 선택' 충동, MBN뉴스, 2020.11.17. (검색일 : 2020.12.05.)
이수아 기자. [트라우마에 우는 탈북민 ②] 하나원 심리 상담은 형식뿐…트라우마 치료 도와야, MBN뉴스, 2020.11.17. (검색일 : 2020.12.05.)
배준우 기자. [트라우마에 우는 탈북민③] [단독] '탈북민 상담'에 있는 예산도 절반만 사용, MBN뉴스, 2020.11.23 (검색일 : 2020.12.05.)
박주평 기자. 통일부·고용부 칸막이에 탈북민 취업프로그램 '속 빈 강정', News1, 2020.04.21. (검색일 : 2020.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