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LUG-TYPE TERMINAL ANCHOR
4.1 Anchor Beams의 설계
4.2 Longitudinal Movement Analysis Example
본문내용
1. 개 요
CRCP의 자유단부에서는 CRCP의 연장에 관계없이 연간 세로방향 유동이 약
25~50mm이상 일어난다. 이와 같은 유동(movement)은 개략적으로 포장 슬래브 세로방향 끝부분의 30~150m에서 일어난다. 반면에 포장 슬래브의 중앙부분은 완전 구속상태를 이룬다.
CRCP의 공용성 조사 결과에 의하면 균열간격이 자유단부 근처에서 중앙부보다 더 큰 반면에 이 부분의 슬래브의 구조 용량(structural capacity)에는 손상을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균열폭이 중앙부의 구속상태 부분에서보다 더 크지 않기 때문이다.
교량 접합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적당한 단부 신축줄눈부를 시공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CRCP는 다른 형태의 포장과 접속될 부근에 유사한 방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CRCP는 교량접속 슬래브가 시공되면 교량으로부터 적어도 20ft(=6m)의 단 부를 제안한다.
자유단부에서 일어나는 유동을 다루는 두가지의 방법인 단부 신축줄눈부(terminal joint method) 설치 방법과 자유단부 정착구(end anchorage) 설치 방법이 있다.
2. terminal joint (단부신축 줄눈부)
와이드 플랜지 보 단부 줄눈 형식(wide flange beam joint assembly)으로서, 이 구조에서 와이드 플랜지 보는 줄눈부에서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철근 콘크리트의 지지 슬래브(RC sleeper slab)를 이것 아래에 설치하고 그 속에 삽입시킨다.
CRCP의 자유단부의 수축작용을 수용하기 위해서 지지 슬래브와 CRCP 슬래브 저면 사이 접촉면에는 Mylar지와 같은 접착 감소층(bond breaker)를 설치하고, 와이드 플랜지 안쪽면에는 그리스(grease) 칠을 한다. 그리고 CRCP의 팽창작용을 수용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