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학 ) 1. 문화민주주의 2. 문화의민주화 3. 문화의다양성 4. 문화개발, 예술과 관련된 정책을 관련하여 위 네가지 중 한가지를 적용하여 분석
- 최초 등록일
- 2020.12.28
- 최종 저작일
- 2020.12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2,85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화민주주의
2. 문화정책의 의의
3. 해외 미술주간 사례
4. 문화민주주의 시각에서 바라본 국내 미술주간
Ⅲ.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국은 1970년대 본격적으로 문화예술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1972년 8월 「문화예술진흥법」의 제정을 시작으로 문화예술분야를 지원하였으며, 1973년 10월 한국문화예술진흥원(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을 설립하고 ‘문예중흥선언’을 하면서부터 문화예술진흥정책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예중흥의 기조는 정권이 교체됨에도 지속되었는데, 특히 1980년대에는 정부가 ‘문화 민주화(Democratization of Culture)’을 표방하면서 예술문화의 일상화를 목적으로 하였으며, 동시에 지방 문화의 육성 및 진흥에 힘썼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1995년 지방자치제의 부활과 함께 1997년 경기문화재단이 설립되었으며 각 광역 및 지역문화재단의 설립이 잇달아 발생하였다.
문화정책은 2000년대 이후에도 꾸준히 이어져 「문화기본법」과 「지역문화진흥법」 등이 제정되었으며 이 법적 근거를 토대로 지방자치단체별 문화예술시설이 늘어났으며 현재까지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지역문화재단과 문화예술시설이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문화예술정책은 문화민주화에 근거하여 문화예술시설의 수를 늘리고 그에 따라 국민들이 문화예술을 폭넓게 향유하게 하고 있도록 한다는 목적에 근거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문화민주화에 대한 정책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첫째, 문화재단 및 문화예술시설 등 이를 운영하는 주체에 의하여 문화예술정책이 진행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공급자 중심의 문화예술정책은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데 대응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둘째, 대부분의 문화예술정책이 규모의 차이만 존재한 채 공연 중심의 목적이 대다수라는 것이다. 특정 예술용도의 문화예술시설은 상대적으로 전시 및 문화예술교육 등의 성장을 위축시킬 수 있다. 셋째, 문화 복지나 문화다양성 등에 대한 이해 없는 문화예술정책은 그 운영에 있어서 주체와 관련 없이 비슷한 시스템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참고 자료
이동형. "지역문화재단의 문화민주주의 정책과 특성화 전략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서울
임다솜. "문화 민주화, 문화 민주주의 시선으로 바라본 국내외 미술주간 정책 비교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9.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