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과학 콩깍지의 역할과 성선택 발표 (ppt&스크립트)
- 최초 등록일
- 2020.12.25
- 최종 저작일
- 2020.10
- 21페이지/ 압축파일
- 가격 1,500원
소개글
"행동과학_콩깍지의 역할과 성선택 발표 (ppt&스크립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콩깍지란?
1) 사전적 의미
2) 콩깍지의 증상
2. 콩깍지 메커니즘
1) 페닐에틸아민
3. 콩깍지와 경향성
1) 사회성과 콩깍지
4. 콩깍지와 성선택
1) 성선택
2) Good gene
3) 콩깍지의 역할
본문내용
콩깍지란?
속담
눈에 콩깍지가 씌었다
앞이 가리어 사물을 정확하게 보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표준국어대사전
콩깍지란? - 콩깍지의 증상
‘내 눈엔 멋있어 보여’
상대의 장점 극대화, 단점은 잘 안 보임
낯선 상대와의 빠른 친밀감, 호감 형성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가설 검증 처리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가설)을 검증하는 방향으로 사고 및 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
실험 참가자에게 특정 대상 인물에 대한 선입견을 심어준 뒤 그 대상을 인터뷰하도록 함
-> 자신의 생각(선입견)을 검증하는 방향으로 인터뷰 질문을 고름
콩깍지 메커니즘 - 페닐에틸아민
페닐에틸아민
-사랑에 빠진 뇌에서 농도 증가, 호르몬 대사
-천연 암페타민, 중추신경을 자극하는 각성제 역할
-옥시토신, 엔도르핀과 함께 사랑에 관여
-분비가 지속될 시 내성이 생김
-콩깍지의 유통기한은 최대 4년?
콩깍지와 성선택 - 성선택
성선택 (Sexual selection)
생존에는 불리하더라도 그 형질이 번식에 훨씬 유리할 경우 형질의 빈도수가 높아지도록 진화할 수 있음
참고 자료
Snyder, M., & Swann, W. B. 『Hypothesis-testing processes in 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78
김보희, 『페닐에틸아민, 사랑의 콩깍지를 씌우다』, 한국뇌과학연구원, 뇌과학 스터디, 2013-07
신동호, 『사랑은 왜 주기가 4년일까?』, 사이언스타임즈, 2006-09-24
Herron & Freeman, 『Evolutionary analysis』, Pearson (진화생물학 부교재, 수업자료)
신영은, “‘이상준 소개팅女’ 이단비, 이상준에 "지현우 닮았다" (아내의 맛)”, 매일경제, 2020-10-14
윤호, “미혼남녀, ‘콩깍지’ 씌면 이런 변화가…”, 매일경제, 2015-05-23
차진우, “혹시 나도 칭기즈칸의 후손?”, 중앙일보, 2015-02-20
https://m.blog.naver.com/ahsune/20172717627
https://1boon.kakao.com/newsade/couple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