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보건의료 체계
- 최초 등록일
- 2020.12.18
- 최종 저작일
- 2020.09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우리나라 보건 의료 체계
2.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 문제점
3. 보건의료체계 개선방안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 론
현대사회는 사회구조가 전문화, 기계화, 세분화되면서 인간적인 사회구조가 아니라 사무적이고 형식적인 사회구조가 형성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구조는 사회 구성원들로 하여금 정신적인 황폐화 현상을 촉진케 하고 있으며 이는 곧 각종 정신질환을 비롯한 여러 가지 보건의료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음은 여러 연구결과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경우 사회구조의 탈 인간화로 인하여 매년 정신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데 국제질병분류(ICD)를 이용하여 조사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현재 10만 명당 유병률은 2,703명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질환의 종류 또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정신질환의 발생과 증가에 대해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목적으로 정부는 1997년 정신보건법을 제정하여 정신질환과 정신보건시설의 운영에 대한 규정을 명확히 하였으며 정신질환의 치료 및 인권보호에 대한 내용을 구체화시킨다. 그러나 아직은 정신질환자의 다양한 정신의료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미비한 점이 많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의 전문성의 확보와 전반적인 보건의료제도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Ⅱ. 본 론
1. 우리나라 보건 의료 체계
우리나라 보건 행정 체계는 공공 보건 조직 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상부 중앙보건 조직과 하부 지방 보건 조직 간에 직접적인 행정적 연계성이 없이 모든 행정조직이 지방자치 단체를 전제로 하여 종합 행정 체계로 되어 있다.
정부 중앙 보건 행정 조직의 중추 기관인 보건 복지부는 사회복지 정책, 보건 정책, 건강 증진 및 연금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고 있으나, 보건 사업의 진행에 있어서는 인사권, 예산 집행권이 없는 정책 결정 기관으로서 기술지원만 하고 있다.
참고 자료
국가 기록원 http://www.archives.go.kr : 국민의료법 제개정
손명세(2002), “보건 의료법제의 변천과정”, 법제처, <월간법제> 2000권 7호
김영재, 신미애 저, 『한국의 사회문제』. 윤성사, 2019
이철우 저, 『현대사회문제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7
헨리 조지 저, 전강수 역, 『사회문제의 경제학』, 돌배게, 2013
김정규 저, 『세계화와 사회문제』, 에듀컨텐츠휴피아, 2017
루돌프 슈터이너 저, 최혜경 역, 『사회문제의 핵심』, 밝은누리, 2010
최연희 외,『지역사회보건간호학』, 2014
보건복지부
국가법령정보센터
보건복지통계연보
김상용, 지역보건소 운영의 개선 방안, 전북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