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헌고찰 : 고혈압
1) 정의
혈압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수축기혈압 140mmHg, 이완기혈압 90mmHg이상으로 지속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2) 분류_대한고혈압학회와 미국심장학회의 기준
① 정상 혈압 :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 확장기 혈압 80mmHg 미만
② 고혈압 전 단계 : 수축기 혈압 120~139mmHg이거나, 확장기 혈압 80~89mmHg
③ 1기 고혈압(경도 고혈압) : 수축기 혈압 140~159mmHg이거나, 확장기 혈압 90~99mmHg
④ 2기 고혈압(중등도 이상 고혈압) : 수축기 혈압 16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 100mmHg 이상
3) 병태생리
● 교감신경계 : 교감신경계 활성화 -> 심박동수와 수축력 증가 -> 말초세동맥 수축 -> 신장에서 레닌 분비 자극 -> 심박출량과 전신혈관 저항 증가 -> 혈압 상승
● 혈과내막 : 혈관내막에서 혈관작용물질과 성장물질 생산으로 혈압에 영향을 미침
● 요로계 : 레닌 분비 -> 안지오텐시노겐을 안지오텐신1으로 전환 -> 안지오텐신1을 안지오텐신2로 전환 -> 부신피질을 자극해서 알도스테론을 분비하여 수분과 나트륨을 재흡수 하여 혈압이 상승 & 직접적으로 혈관에 작용하여 혈압 상승
<중 략>
Ⅱ. 본론
간호사정 요약 69세 여성 이00님은 신탄진동 2층 주택에 남편과 거주하며 현재력으로는 고혈압이, 과거력으로 심장수술(2015y)을 했다. 현재 심장약을 복용중으로 규칙적으로 먹고 있다. 음주과 흡연은 전혀 하지 않으며 식습관에서 3끼를 불규칙하게 먹고 음식을 약간 짜게 먹고 있다. 튀김 및 육류 식이를 자주 하며 운동은 거의 하지 않는다. 수술 이후 몸 상태가 약해서 지인을 만나는 것을 꺼려하고 운동과 일상생활 활동 시 약간의 어려움과 무기력, 우울감을 호소하고 있다. 정서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편이라고 하였다. 병원 방문이나 집 주변의 경로당 방문 외에는 특별히 외출하는 일이 없고 3개월에 한 번씩 방문간호사가 경로당으로 방문하여 혈압과 혈당측정을 하고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