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점 평균: 4.3(4.5)
현대문학특강 수업에서 A+ 받은 레포트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시 분석
2-1. 세련된 감각으로 - 모더니즘 시
2-2. 구원을 찾아 종교의 세계로 - 카톨릭 시
2-3. 산으로 오른 정신 - 산수시
본문내용
정지용은 현대시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인이다. 그는 고전을 습득하고 새로운 문예이론을 수용하면서 한국적 전통성과 서구적 현대성을 연결시켰다는 점에서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최초의 직업적인 그리고 전문적인 현대 시인이라 할 수 있다. 정지용의 첫 시집은 1935년 10월에 간행된 『정지용 시집』으로 모윤숙, 이양하, 변영로, 김기림, 이고산 등은 이 시집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와 더불어 임화, 신석정, 김환태 등으로 이어진 논의는 정지용에 대한 해방 전의 논의를 풍성하게 하였다. 이양하는 「바라던 지용詩集」이란 서평을 통해 정지용의 개인의 시와 인간 자체에 대한 관심을 역사적 관점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지용의 사물파악에 대한 예리한 감각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특히 그의 시어를 다루는 솜씨에 대해 “말의 비밀을 알고 말을 휘잡아 操縱하고 구사하는 데 놀라운 天才를 가진 詩人”이란 칭찬을 아끼지 않는다. 모더니스트적 시각의 비평가 박용철, 양주동, 김기림 등은 정지용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고 한다면, 정지용의 시를 마르크시스트적 비평가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각도 있다. 그 예로는 임화의 평론을 내세울 수 있는데, 임화는 정지용을 “內容과 思想을 放棄했다”고 공격한다. 그러나 그의 논의는 자기의 문학관을 전개하기 위한 의도를 가졌다는 점과 정지용의 작품에 대한 질량관계의 구체적인 분석과 비판이 全無했다는 한계를 보인다.
한편 정지용의 두 번째 시집인 『백록담』이 간행된 1941년 9월 이후부터 해방 무렵까지의 정지용의 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해방 직후 김동석, 홍효민, 조연현 등에 의하여 이루어진 정지용에 대한 논의는 6·25동란 때 그가 월북한 것으로 오해되었기 때문에 1950년대로 이어지지 못했고 1960년대의 정지용 연구는 유종호, 송욱, 유치환, 김춘수, 김우창, 김용직에 의해 이루어졌다. 유종호는 《思想界》지에서 마련한 新文學 50년 특집 심포지엄에 발표한 테마 주제문에 정지용의 시를 네 가지 특질을 나누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참고 자료
기초자료
정지용, 『정지용 전집 1』, 민음사, 2010.
정지용, 『정지용 전집 2』, 민음사, 2010.
김종태 외, 『정지용 이해』, 태학사, 2002.
김학동, 『정지용 시 연구』, 민음사, 1984.
논문 및 저서
김종태, 「정지용 시의 죽음의식」,『정지용 이해』, 2002.
신형기, 「이효석과 식민지 근대」, 동경 와세다 대학 세미나하우스, 2002.
오문석, 「1930년대 후반 시인의 ‘새로움’에 관한 연구」, 『1930년대 후반 문학의 근대성과 자기성찰』, 깊은 샘, 1998.
오성호,「<향수>와 <고향>, 그리고 향토의 발견」, 한국시학회 7호, 2002.
오순옥, 「정지용 시의 변모과정 연구」, 경북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1.
이숭원, 『정지용 시의 심층적 연구』, 태학사, 1999.
이양하, 「바라던 지용詩集」, 조선일보, 1935. 12.
이유범, 「정지용론-자아 감추기와 그 한계」, 『한국현대시인연구』, 신아, 제3세대비평문학회 편, 1988.
장도준, 「정지용 시의 음악성과 회화성」, 『한국 현대시의 전통과 새로움』, 새미, 1998.
정의홍, 『鄭芝溶의 詩 硏究』 , 형설출판사, 1995.
조동일, 「산수시의 경치, 흥취, 이치」, 『한국시가의 역사의식』, 문예출판사, 1993.
최동호, 「정지용의 <장수산>과 <백록담>」, 『하나의 道에 이르는 詩學』, 고려대학교출판부, 1997.
최동호, 「정지용의 산수시와 성정의 시학」, 『정지용 연구』, 2002.
최승호, 「정지용 자연시에 나타난 정(情)과 경(景)」, 한국현대문학연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