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예방보건교육 레포트 입니다.
마지막 교육평가 결과는 가상으로 만든 자료입니다.
모두 좋은결과 얻으세요!
목차
1.학습요구 사정
2. 보건교육계획서
1) 보건교육계획서
2) 보건교육방법 및 매체
3. 학습 단계별 시나리오
4.도입, 전개, 정리
5.보건교육 평가
본문내용
2) 외향적 요구사정
(1) 서울시 치매관리사업 시민 요구도 조사
① 조사방법: 25개 자치구 치매지원센터를 방문하거나 이용하는 치매환자 가족 및 서울시민 총 2,0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② 연구도구: 서울시 치매관리사업 안내서에 수록된 ‘치매지원센터 사업요구도 조사’ 이용
③ 결과
:치매환자 및 가족을 위한 서비스 요구도
① 가정도우미 지원 서비스(15.1%)
② 치매시설 정보안내 및 입소지원 서비스(14.6%)
③ 교육 프로그램(13.9%)
: 치매에 대한 걱정과 관련하여 실제 기관이나 매체를 이용한 경험
① 있음(59.3%)
② 없음(40.7%)
(2) 성인의 치매지식, 예방교육 요구도
① 대상자 특성
- 총 127명
- 남자 14명(11%), 여자 113명 (89.7%)
- 연령 평균 60세
- 치매에 대한 관심도: 82.1%가 치매에 대한 관심이 높다고 대답했다.
② 연구도구
- 치매에 대한 지식: 서울 광역시 치매센터(2011)에서 개발한 도구
- 치매에 대한 예방교육: 서울특별시 치매관리사업교육자료집(시민대상 치매 예방
교육, 2009) 이용
③ 결과
- 치매 지식: 12점 만점에 8.17±1.88점, 정답률 76.2점
-> 문항 간 정답율의 차이가 크다: ‘완치 가능한 치매가 있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뇌졸중(중풍) 때문에 치매가 생길 수 있다’ 등 정보 요구도가 높은 영역인 치매의 원인과 치료에 대한 정답률이 낮게 나타났다.
- 치매예방에 대한 교육요구도: 4.55±0.48점(5점 만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 중 략 >
보건교육 제목
치매!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일반적 학습목표
일상생활 속에서 치매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기한: ~ )
구체적 학습목표
1. 치매의 위험성을 알 수 있다.
2. 정확한 치매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2. 일상생활 속 치매 예방법을 실천할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