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프로그램 개요 [초등학교, 중학교 수업시간을 기준으로 40-45분에 맞게 기획했다.]
1) 1회기: 주변인? 방관자? 보호자?
2) 2회기: 학교 폭력 체크리스트
3) 3회기: 학교폭력 예방 백신 연구소
4) 4회기: 학교폭력 바이러스 무찌르기
5. 기대효과
본문내용
1. 학교폭력 프로그램의 목적
학교폭력이 일어났을 때 잠재적 방관자 학생이 될 수 있는 대다수의 학생에 대하여 학교 폭력 문제에서 자신의 역할을 생각해보고, 이를 실천에 옮길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게 한다. 학교폭력 문제에서 주변인의 행동은 사건의 발생 자체를 논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교 폭력 주변인들이 피해자를 보호하는 쪽으로 행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인식을 변화시키고자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가해 학생에 동조하고 가해 행동을 묵인하는 주변인보다 피해학생을 방어하려는 주변인이 많다면 해당 학교 폭력 문제가 심각해지기 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학교폭력 주변인이 가질 수 있는 심리적 스트레스를 공유하며 사회적 유대관계를 형성해주어 안정감을 주고자 하는 목적 역시 있다. 학급 구성원 간의 학교폭력에 대해 갖는 인식을 공감하고, 감정을 털어놓으며 상호 신뢰관계를 형성해 이후 학교폭력 사건이 발생했을 때 함께 보호자로서 행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인의 생각을 이야기하고, 이를 스스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고민해봄으로써 학생들이 학교 폭력 상황에서 주체성을 가지고 행동할 수 있도록 한다.
2. 프로그램의 특징 및 차별성
학생 개인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동시에, 집단과 이를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약점을 드러내는 것에 대해 부끄러워하지 않도록, 방관자가 보호자 역할로 변화하는데 일종의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다. 본인이 학교폭력 상황에 처했을 때 가질 수 있는 보복에 대한 두려움, 사건에 휘말리게 되었을 때의 부담 등을 솔직하게 공유하고 이에 대해 공감을 받는 과정은 일종의 집단 상담과정과도 비슷하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프로그램이지만 그 해결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사전 과정은 학교폭력 주변인으로서 가질 수 있는 실질적 부담을 허심탄회하게 털어놓을 수 있는 자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 양재일, 「학교폭력 방관자 변화를 위한 자기효능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 조선미,신윤미,신경민, 「“방관자에서 중재자로” : 학교폭력 방관자 프로그램과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구축방안」, 한국연구재단, 2014.
· 정혜원, 「학교폭력 방관자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소년보호연구, 30권 2호, 한국소년정책학회, 2017, 153-174쪽.
· 「집단따돌림 예방 프로그램 개발」,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육개발원, 2012.
· 김은하, 고홍월, 조애리, 조원국, 「학교 생활지도와 상담」, 학지사, 2020.
· 이보경, 「트라이앵글의 심리」, 양철북, 2018.
· 홍기원, 최영안, 이종택, 「알기 쉬운 심리학」, 양서원, 2009.
· 「방관자에서 방어자로···강원교육청 학교폭력 예방교육 확대」, 『뉴스1』, 2018.3.29, <https://www.news1.kr/articles/?3274897>, 검색일: 2020.11.30.
· 「학교폭력 해결 열쇠, `방관자`에 있다」, 『디지털타임스』, 2018.2.21,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931037001&ref=naver>, 검색일: 2020.11.3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