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두는 인두의 아랫부분에 위치하여 공기가 통과하는 호흡기관이며 코와 입으로 흡입된 공기를 가습하고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기 역할을 한다. 후두는 성대를 포함하고 있는상기도 중에서 가장 좁은 지역이기 때문에 만약 후두가 염증에 의해 좁아지면 공기가 통하지 않게 되어 호흡곤란이 오고 심하면 질식으로 사망할 수 있다.
후두염이란 감기, 목감기, 상기도 감염에 해당하는 질병으로 바이러스로 인하여 인두, 후두를 포함한 상기도 점막에 생기는 염증성 반응을 말하며. 흔히 목감기이며 성문상부염이라고도 한다. 증상의 기간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되며 3주를 기준으로 미만은 급성, 지속되면 만성으로 진단한다.
이 염증으로 인해 성대에 자극이 되면서 목이 쉬거나 목소리가 안 나올 수 있다. 급성 폐쇄성 후두염(크루프)은 컹컹 울리는 기침, 쉰 목소리,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급성 감염성 후두염을 말하며, 하기도로 진행이 됨에 따라 후두염, 후두기관염, 후두기관 기관지염으로 진단될 수 있다.
발성과 호흡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후두염은 급성 후두염(상기도 감염, 성대의 혹사, 뜨거운 가스나 부식물질의 흡입으로 발생됨)과 만성후두염(성대의 혹사, 뜨거운 가스나 부식성 물질의 흡입, 흡연, 만성 부비동염이나 기관지염 혹은 알레르기로 인한 화농성 물질 배액, 위액의 역류, 갑상샘기능저하증 등이 원인)으로 분류되며 알콜 중독이나 후두결핵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급성 후두염은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감염에 의해 급성으로 후두와 그 주변 조직에 염증이 생긴 상태이다. 감기의 부분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코감기(급성 비염)나 인두염을 동반하고 기침이 발생하며 목소리가 변하게 된다. 후두염은 상기도 호흡기 질환으로 통칭되는 감염성 질환으로 인두염, 후두염, 기관지염과 명확히 구분하는 것은 어렵고, 일반적으로 상기도 호흡기 질환을 통틀어 감기 또는 상기도 감염으로 통칭하기도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