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문화학과>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지원 정책 문제점과 대책방안
- 최초 등록일
- 2020.12.09
- 최종 저작일
- 2018.12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지원 정책 문제점과 대책방안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여성 결혼이민자 지원정책 현황
2. 여성 결혼이민자의 특성
3. 사회적 네트워크의 중요성
4. 여성 결혼이민자 지원정책 문제점
1) 교육 프로그램 불충분함
2) 경제 부문
3) 문화부문
4) 인식개선
5. 여성 결혼이민자 지원정책 방안
1) 교육 프로그램
2) 경제 부문
3) 문화부문
4)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인식개선
Ⅲ.결론
본문내용
Ⅰ.서론
한국 사회는 1990년대 중반부터 정부의‘농촌총각 장가 보내기’사업을 시작으로 한국으로 이주해 온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급증하기 시작하였다. 국내 이민자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을 중심개념으로 설정하며,‘적응’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있다 - “개인의 심리적인 내적 욕구와 사회적인 외적 환경 간의 조화를 이루어 일상 생활에서 불안감과 좌절감 없이 만족을 느끼는 상태”-. 그런데 결혼이민자의 대부분은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결혼이민자의 부적응은 개인적인 차원의 문제를 넘어 한국사회에 사회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한국 정부가 최초로 시도한 여성 결혼이민자 정착화 지원정책은 2006년 4월 발표한‘여성 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 지원 대책’으로 이를 토대로 여성가족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여성가복부, 교육부 등 10개 부처 및 산하 기관들의 지원으로 각종 정책이 입안되어 집행되고 있으며, 지방정부도 자체적으로 지원정책이 마련하고 있지만 예산과 기타 여건 미비로 장기적인 정책이 아닌 단기적인 체험프로그램에 그치고 있다. 여성 결혼이민자의 정착화에 있어서 전통적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문제는 경제적 상황과 교육적 취약성이다. 세계적으로 다문화로 변화하고 있고, 국제결혼에 대한 수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결혼이민자들의 수는 더욱 증가될 것으로 한국의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부적응은 한국사회에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될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마련이 더욱 중요해지는 시점이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 지원정책들을 알아보고 문제점과 대책방안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Ⅱ.본론
1. 여성 결혼이민자 지원정책 현황
중앙정부와 지방자치 단체를 중심으로 결혼이민자에게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제공과 교육 및 학습, 학교 프로그램 등의 지원정책 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몇 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참고 자료
고혜원, 김상호(2010).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 지원 방안: 언어·문화 자원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연구보고서 3-4.
박기관(2011). 다문화시대의 여성결혼이민자 가정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방안
-강원도를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한국정책연구 제11권 제1호.
김규식(2017), 여성 결혼이민자 한국사회 정착화 과정 및 지원정책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지역개발전공 박사 논문.
서정원(2018), 여성결혼이민자의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 사회적 네트워크, 사회참여, 사회적응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정책학과 정책학전공 박사 논문.
김혜순(2014). 결혼이민여성의 이혼과 ‘다문화정책’. 한국사회학회. Vol.48No.1[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