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전자를 조작한 유채가 가져올 수 있는 또 다른 교배 작물 탄생의 위험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유전자변형 생물체 개념 및 수입 현황
2. 유전자변형 생물체 위험성
3. 교배작물 탄생 가능성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명공학의 발전으로 생긴 유전자변형 기술이 인간사회에 막대한 이점을 가져오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많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유전자변형을 통해 강력한 제초저항성을 갖고 병충해로부터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등의 방법이 보다 질 좋은 농산물 등을 만들어 내지만 그만큼의 위험도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는 완전하게 검증되지 않았을뿐더러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아직까지도 해결되지 않았다. 그 중에서도 유전자변형 생물체가 갖는 다음과 같은 확산에 대한 문제를 꺼내보려고 한다.
환경에 대한 위해성의 주요 내용으로 GM작물의 잡초화 및 야생화 가능성과 화분을 통한 도입유전자의 근연종으로의 확산(gene flow)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제초제 및 해충저항성 등 새로운 형질이 생태계에 교란을 일으킬 수 있으며 방제가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Snow와 Moràn Palma1997).
위와 같이 제기된 생태계 교란의 가능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나 본문에서는 유전자변형생물체 중에서도 유채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김창기, 이범규, 박기웅, 최경화, 김환묵. "국내 유전자변형작물의 환경위성 평가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한국잡초학회지 28 no.4 (2008): 325.
노철화, 김정인. "유전자변형 농산물의 안전성 문제와 경제적 문제." 經營 經濟 硏究(MANAGEMENT AND ECONOMICS REVIEW) 18 no.1 (1999): 40-41.
이범규, 김창기, 박지영, 이훈복, 박기웅, 정순천, 유원기, 안주희, 조강현, 김환묵. "인천항만 주변 하천유역의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변형유채 조사." Weed&Turfgrass Science 27 no.1 (2007): 80-81.
이범규, 손수인. "제초제저항성 유채로부터 교잡근연종으로의 화분을 통한 유전자이동 조사." Weed&Turfgrass Science 8 no.2 (2019): 105.
이영화, 김광수, 장영석, 조현준, 방진기, 서세정. "GM유채와 근연 종,속 식물 사이의 도입유전자 이동성 연구." 한국육종학회 학술발표회 발표요지 41 no.1 (2009): 135.
임연화, 장전걸, 육민정, 나경주, 김도순. "유전자변형 유채-정상 유채 F1 교잡종의 잡초화 가능성 평가." 한국잡초학회 별책 34 no.2 (2014): 61.
임연화, 육민정, 장전걸, 나경주, 박수형, 김도순. "유채로부터 갓으로 유전자이동에 의한 교잡종의 휴면에 따른 잡초화 가능성." Weed&Turfgrass Science 4 no.1 (2015): 35.
전경운. "생명공학의 위험성에 대한 적절한 규율." 환경법연구 26 no.1 (2004): 280.
정세은. "유전자 변형 식품의 소비자 인식과 표시의 의무화." 바이오경제연구 2 no.1 (2019): 160.
金映伸, 박성용, 강창경, 정용수. GMO의 법률상 용어 정의 및 관련 표시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n.p.: 한국소비자원, 2010.
성명환, 박지연, 정원희. 유전자변형 작물의 수입 현황과 과제. n.p.: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