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공학실험 사용성 최종보고서 영화 예매 앱(CGV와 MEGABOX)의 사용성 비교와 사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 최초 등록일
- 2020.12.03
- 최종 저작일
- 2015.11
- 5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인간공학실험 사용성 최종보고서 영화 예매 앱(CGV와 MEGABOX)의 사용성 비교와 사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소개1
1.1 실험 주제 소개 및 실험 목적1
1.2 연구의 필요성3
1.3 연구의 활용 및 기대효과4
2. 배경 이론5
2.1 사용성(usability)5
2.1.1 학습성6
2.1.2 효율성6
2.1.3 기억용이성6
2.1.4 오류6
2.1.5 만족도6
2.2 사용성 테스트8
2.2.1 사용성 테스트의 분류8
2.3 파일럿 테스트10
2.3.1 파일럿 테스트의 목적과 필요성10
2.3.2 언제 파일럿 테스트를 하는가10
2.3.3 어떻게 파일럿 테스트를 하는가?11
3. 실험 설계12
3.1 실험 설계 개요12
3.2 예매 시간의 차이 비교 실험14
3.1.1 실험 가설15
3.1.2 실험 변인15
3.1.3 실험 준비16
3.1.4 실험 수행18
4. 실험 결과20
4.1 예매 시간의 차이 비교 실험20
5. 실험 분석21
5.1 분석 방법21
5.1.1 두 집단의 평균 비교21
5.1.2 두 집단의 분산 비교21
5.2 분석 방법의 타당성23
5.2.1 두 집단의 평균 비교23
5.2.2 두 집단의 분산 비교24
5.3 분석 결과25
5.3.1 두 집단의 평균 비교25
5.3.2 두 집단의 분산 비교25
6. 결론27
6.1. 각 앱을 사용하는 데 걸린 시간27
6.2. 각 앱을 사용하는 데 걸린 시간의 분산28
7. 토의29
7.1 화면구성29
7.2 단계구성33
7.3 두 앱을 사용하는 데 걸린 시간의 분산35
7.4 두 앱을 사용하는 데 걸린 시간의 분산37
7.5 그 외 사소한 차이39
7.6 그 외 한계점40
7.6.1 다른 사용성 지표들40
7.6.2 각 앱의 설계 목표의 다름41
7.6.3 표본의 한계41
7.6.4 실험 시 학습 효과42
7.6.5 실험 시나리오와 현실 상황의 차이에서 비롯된 한계43
7.6.6 모바일 기기43
8. 참고 문헌45
9. 부록46
본문내용
1. 실험 소개
1.1 실험 주제 소개 및 실험 목적
사용성(usability)이란 어떤 서비스를 사용자(user)가 얼마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가에 관한 척도이다. 같은 목적의 수많은 제품들과 서비스들이 존재하는데,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도와 일의 효율성이 높을수록 사용성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의 버튼 같이 의식적으로 느끼지 못하는 분야이더라도 그 디자인에 따라 버튼을 잘못 누르는 확률,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도 등이 다르다. 이를 사용성의 차이에 의한 결과로 생각할 수 있겠다.
사용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크게 정량적 방법과 정성적 방법이 있다. 정량적 방법은 업무(task)의 효율이나 오류율과 같은 구체적인 수치들을 바탕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정량적 방법은 정성적 방법에 비해 신뢰도가 높고 분석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정량적 방법에는 주관적 경험과 같은 상대적인 요소들은 평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정성적 방법을 쓰는 것이 편리하다. 정성적 방법은 객관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충분한 근거와 합리성이 바탕이 된다면 어느 정도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주로 정량적 방법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영화 예매 앱인 CGV 앱과 MEGABOX 앱의 사용성을 비교하려 한다. 앱의 가장 기본적인 목적인 예매 기능이 얼마나 잘 수행되는지 알기 위해 사용자가 특정 영화 예매의 결제 직전 단계까지 들어가는 데 걸리는 시간과 거쳐야 할 단계의 수를 비교할 것이다. 그리고 두 시간을 비교했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만약에 차이가 존재한다. 두 앱의 어떤 차이가 사용성의 차이를 낳았는지를 정성적 방법으로 분석할 것이다. 실험을 하며 피실험자를 충분히 관찰한다면 피실험자가 주로 예매과정의 어떤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고, 앱의 어떤 특징이 불편했는지를 충분히 조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정성적 방법이 가지는 객관성 부족의 한계를 최소화하면서, 사용성의 차이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Sander McCormick, 조영일 역, Human Factors in Engineering and Design, 제7판, 1993, pp62-68, pp70-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