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시각장애는 어떤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가를 먼저 살펴본 다음 맹자와 약시자에 대한 원인을 구체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시각장애의 원인은 질병과 결함으로 대별하여 생각할 수 있다. 시각의 질병은 질환의 악화로 시각이 장애되는 것으로서 자연적이든 또는 의료에 의해서든 회복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결함은 그 원인이 질병에 의해서든 외상에 의해서든 간에 결과적으로 회복이 곤란한 장애를 일컫는 것으로서 일단 치료와 의학의 대상이 되지 않는 경우를 지칭하고 있다. 예컨대, 시신경 염증이나 시신경의 고갈로 인한 시신경 위축 등은 시력장애(결함상태)가 되어 회복되기 어려우며, 출생 시부터 안구가 특히 작은 소안구병은 의료를 통해서 치료가 곤란한 결함으로 간주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질병이 치료 ․ 의술의 대상이 된다면 결함은 특수교육의 대상이 된다고 할 수 있는데,......<중 략>
참고자료
·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