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화학공학과 공업화학실험 보고서입니다.
공업화학실험 학점은 A+를 받았습니다.
결과보고서는 스스로 생각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으므로 실험결과를 분석하고 고찰하는 부분에서는 다소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내용 자체를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이러한 방향으로 분석 및 고찰을 하였음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결과보고서는 스스로 생각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으므로 실험결과를 분석하고 고찰하는 부분에서는 다소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내용 자체를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이러한 방향으로 분석 및 고찰을 하였음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목차
I. PEMFC
1. 서론(실험개요,목적,필요성 등을 서술)
2. 실험방법
3. 실험결과
4. 실험결과 분석 및 고찰
5. Problems
II. DSSC
1. 서론(실험개요,목적,필요성 등을 서술)
2. 실험방법
3. 실험결과
4. 실험결과 분석 및 고찰
5. 참고문헌
본문내용
PEMFC
1. 서론(실험개요,목적,필요성 등을 서술)
연료전지는 내연기관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는 차세대 동력원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료전지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연료전지를 연구하는 학자뿐만 아니라 급속도로 변화하는 현대사회의 공학자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소양 중 하나이다. 본 실험을 통하여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의 구성요소 및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각 구성요소가 연료전지에 미치는 영향과 전지의 이론적인 전압과 실제로 측정되는 전압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서 고찰한다.
<중 략>
DSSC
1. 서론(실험개요,목적,필요성 등을 서술)
태양전지는 반영구적이며 친환경적인 에너지인 태양에너지를 기반으로 하여 이를 인류 사회에 유익한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다. 태양의 수명은 앞으로 수십억 년 남아있으므로 태양에너지는 반영구적이라 할 수 있고, 기존의 내연기관과 다르게 CO2나 여타 환경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지극히 자연친화적이다.
<중 략>
이와 같이 태양전지는 Cell의 면적이나 전해질의 농도, 염료의 농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주어진 데이터를 통해 얻어낸 효율을 확인해보면 전해질인 요오드 용액의 농도가 커질수록 효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각 Cell에서 구한 I-V Curve와 Power Curve를 상용 Cell에서 구한 것과 대략적인 형태에서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ITO Glass를 염료에 담지시킬 때 완전한 암실의 조건을 갖추기 못하였으므로 빛에 의한 ㅇ영향이 끼쳤으며, ITO Glass을 요오드 용액을 사이에 두고 접촉시킬 때 요오드 용액이 골고루 퍼지지 못하고 미처 제거하지 못한 기포 등이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판단이 된다. 효율성을 높이고 이상적인 태양전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태양전지 제조과정에서 생기는 여러 불안정한 요소들을 줄여나가야 할 것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