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장애인 분야 국정과제로 ‘탈 시설 등 지역사회 정착 환경 조성’이 포함되었다.그리고 2017년 8월 25일에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공동행동의 광화문 농성장을 방문하여 탈시설 추진을 위한 위원회 구성을 약속하였고, 이에 따라 현재논의가 진행 중이다. 그리고 2018년 3월에 보건복지부는 취약계층 돌봄 체계를 ‘커뮤니티 케어(community care)’로 전환한다고 선언하였다. 정부는 커뮤니티 케어를 ‘돌봄을 필요로 하는사람들이 자택이나 그룹홈 등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복지급여와 서비스를 누리고, 지역사회와 함께 어울려 살아가며 자아실현과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혁신적인사회서비스 체계’라고 설명하였다.
현 정부의 사회복지서비스 정책에서 ‘탈시설(deinstitutionalisation)을 통한 커뮤니티케어(community care)’가 중요한 정책과제로 설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
· 공선희(2015). “영국의 커뮤니티 케어 정책의 역사적 변천과 쟁점 : 노인케어의 혼합경제를중심으로”, 한국노년학, Vol.35, No.1, 79~98, 한국노년학회.
· 김용득(2018). “탈시설과 지역사회 중심의 복지서비스 구축방안 : 자립과 상호의존을 융합하는 커뮤니티케어”, 2018년 보건사회연구 콜로키움 자료집 : 커뮤니티 케어와보건복지서비스의 재편, pp15~3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