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나라와 전 세계는 코로나 19로 심각한 고통을 겪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1일 신규 확진자가 300명을 넘어서면서 코로나 19의 재확산 조짐이 있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격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하였다.
2020년 1월 30일 WHO는 이미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으며, 코로나 19 확진자가 전 세계에서 속출하자 홍콩독감(1968), 신종플루(2009)에 이어 사상 세 번째로 코로나 19에 대해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선포하기도 했다.
코로나 19로 인해 코로나 19 이전의 우리의 평범한 일상은 무너졌다. 개학이 연기되고, 격주 등교를 하기도 하였으며, 도서관·식당 등 다중시설 이용이 제한되고, 외출 시에는 항상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등 우리는 일상생활 전반에서 커다란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변화를 경험하면서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변화의 현상에 대해 탐구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생명과학 시간에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 배우면서 ‘코로나 19’와 ‘백신’에 대해 깊이 있는 탐구를 해보고 싶어졌다. 또한 세계적인 코로나 19 대유행 속에서 우리는 어떤 수칙을 지키면서 살아가야 하는지, ‘코로나 19’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등에 대해서도 연구를 계속하고 싶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강력한 방역조치로 코로나19 감염자가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최근 다시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람들의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인식과 숙지 정도는 어떠하며, 사회적 거리두기가 잘 지켜지고 있는지, 그렇지 않다면 어떤 면에서 잘 지켜지고 있지 않은지와 그에 대한 해결방법 등에 대해서도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번 인문·사회과학 학술연구의 주제를 바이러스와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사회적 인식으로 정하고,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백신개발, 사회적 거리두기 현황 및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대해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