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진 유리창의 법칙(사람은 첫인상으로 판단한다.)
어떤 상점의 유리창이 깨져 있는데 방치될 경우 그 건물은 관리되지
않는다는 이미지와 함께 도덕적으로 해이해지고 건물의 가치또한 떨어지는 사회현상
우리는 노후화된 건물이 밀집된 곳을 걸으면 범죄가 일어날 것 같고 음산한 기분을 느낀다.
물론 노후화된 건물도 그 만의 감성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다수의 사람의 심리는 냉정한 법이다. 흔히 우리는 뉴욕을 생각하면 화려한 조명과 마천루가 즐비한 것을 상상한다.
우리의 뉴욕에 대한 이미지는 미국의 문화수도 급으로 발전된 도시를 떠올린다.
하지만 뉴욕시 맨해튼 북부에는 할렘가가 존재한다. 그곳에선 방치된 건물과 거리들이 즐비하다. 현재는 할렘가가 사회적 문제지만 사실 1980년대 뉴욕 전체가 할렘이라고도 할 수 있을 정도로 치안이 최악이었다.
뉴욕시는 사실 뉴욕의 지하철을 새로 개편하고 도시의 수많은 낙서들을 지우는 것만으로도 많은 범죄와 무질서를 개선하였다. 즉,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청결함과 관리가 된다는 인상만으로도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것도 깨진 유리창 이론을 설명할 때 주로 사용하는 예이다.
우리는 이것을 건물에 적용할 수 있다. 건물은 노후화되면 성능과 기능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유럽의 르네상스 건축물같은 예외도 있겠지만 디자인적으로도 건물은 시대에 뒤떨어 질 수 있다.
참고자료
· 박종준. "노후 공공건축물 에너지성능 평가 및 그린리모델링 개선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8. 서울
· 김용수. "“Broken Window 효과의 안전부분 전략적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인천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