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험 날짜
2. 실험 목적
3. 실험 원리
4. 시약 및 기구
5.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7. 고찰
본문내용
1. 실험 날짜: 2019.11.8.금요일
2. 실험 목적:
드라이아이스의 승화열을 측정하고 상평형 그림의 의미를 이해한다.
3. 실험 원리
(1) 분자 간 힘과 물질의 상태
+ 기체, 액체, 고체의 세가지 상태(또는 상)
+ 입자 간의 인력차이로 인해 나타남
< 중 략 >
(2) 상평형 그림
+ 상평형 그림(phase diagram): 물질의 상태는 압력과 온도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이를 나타낸 그림 (분자 사이의 힘은 분자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물질에 따라 상평형 그림이 다르다.)
+ 닫힌 계(closed system) 를 그 물질이 꽉 채우고 있을 때 물질의 온도와 외부 압력에 따른 물질의 상태를 나타낸 것 (opened system 아님)
+ 상평형 그림에서 상태 사이의 경계는 그 압력과 온도에서 두 개의 상태가 같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함.
+ 삼중점(triple point): 세 가지 상태가 같이 존재
+ 물의 삼중점: 0.0060기압, 0.0098℃/ 이산화 탄소의 삼중점: 5.1기압, -56.6℃이다.
+ 임계점(critical point)에서의 온도를 임계 온도(critical temperature)라고 하는데 이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아무리 압력을 가해도 기체 상태가 액체 상태로 바뀌지 않는다.
임계 압력(critical pressure)은 임계 온도에서 액체를 얻는 데 필요한 압력이다.
+ 물은 고체가 액체보다 밀도가 작기 때문에 고체/액체 경계선의 기울기가 음이지만, 이산화 탄소는 고체가 액체보다 밀도가 크기 때문에 고체/액체의 경계선의 기울기가 양
+ 용융열(heat of fusion) 또는 녹음열: 녹는점(melting point)에서 고체가 녹아 액체로 되기 위하여 필요한 열(좀 더 엄밀히 용융 엔탈피(enthalpy fusion)라고 함)
Ex) 물은 대기압(1기압) 영하의 온도에서 고체로 존재하는데 열에너지를 가하면 고체의 온도가 높아지다가 0°℃에서 액체로 되고, 열을 더 많이 가하면 액체의 온도가 높아지다가 100℃에서 기체 상태로 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