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분석학 및 실험 표준용액 역가 측정
- 최초 등록일
- 2020.11.21
- 최종 저작일
- 2019.09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식품분석학 및 실험 표준역가 보고서 입니다.
목차
1. 서론
1) 실험 목적
2) 실험 원리
2. 본론
1) 실험재료 및 가구
2) 실험 방법
3. 결론
1) 결과
2) 고찰
4. 요약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실험 목적
식품 용량분석의 기초가 되는 산과 염기의 표준용액의 제조와 그들 표준용액 제조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역가(이론상의 농도와 실제의 농도의 차이)를 측정하고자 한다.
나. 실험 원리
1) 표준용액(standard solution, 標準溶液)
표준용액은 적정분석 실험에서 사용되는 정확한 농도를 알고 있는 시약을 말한다. 다양한 적정 실험에서 사용되는데 대표적으로 중화적정 실험이 있다. 농도를 모르는 염기의 농도를 알기 위해서 산을 표준용액으로 사용하고, 농도를 모르는 산의 농도를 알기 위해서는 염기를 표준용액으로 사용한다.
2) 중화반응(neutralization reaction, 中和反應)과 중화적정(neutralization titration, 中和滴定)
중화반응이란 산의 수소이온과 알칼리의 수산이온이 반응하여 물을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
적정(titration)이란 뷰렛에 표준용액을 넣은 후 시료에 첨가하여 반응에 사용된 표준용액의 양을 측정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중화적정이란 산 혹은 알칼리 표준용액을 첨가하여 시료의 알칼리 혹은 산과 반응시켜 물을 생성시키는 과정이다. 반응 시료의 pH 변화는 반응 종점인 당량점(equivalent), 즉 수소이온과 수산이온이 동일량 존재하는 범위에서 급격하게 변화한다. 반응 종점에 도달 시 급격한 pH 변화는 일반적으로 지시약을 활용하여 반응한다.
중화반응에 사용되는 지시약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보통 많이 사용되는 것은 phenolphthalein, methyl orange, methyl red 등이 있다.
실생활에서 담근 지 오래된 김치의 신맛은 산성 물질이 많아졌기 때문인데, 여기에 염기성 물질인 조개껍데기를 씻어 넣어 두면 신맛을 중화하는 역할을 한다. 생선의 비린내는 염기인데, 비린내를 없애려고 산성인 레몬을 뿌리는 것, 샴푸 대신에 천연비누로 머리를 감고 린스 대신에 식초를 몇 방울 떨어뜨려 헹구면, 염기성인 비누와 산성인 식초가 만나 중화반응
참고 자료
네이버지식백과,"표준용액",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58817&cid=40942&categoryId=32251(2019년 10월 17일)
노봉수 외 4인, 『식품분석학』, 수학사(2013), p.36~40
티스토리, "당량점 종말점", https://ywpop.tistory.com/m/4661 (2019년 10월 28일)
네이버 지식백과, "지시약",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4297&cid=40942&categoryId=32254(2019년 10월 17일)
네이버 블로그, "역가",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wanzzang78&logNo=80004057081 (2019년 10월 17일)
금종화, 김정숙 외 3인, 『New 식품분석』, 지구문화사(2010), p.56
네이버 지식백과, "종말점 오차"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308735&ref=y&cid=60227&categoryId=6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