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염기 표준용액 제조, 표정, 적정
2. KHP 및 식초 시료 분석
3. 침전적정
4. EDTA를 이용한 침전반응(수돗물)
5. KMnO4 준비 및 농도결정
6. 착물반응에 의한 Mg정량(27-E3)
7. 무게분석 니켈의 함량
8. 일감호 수질측정
9. 전도도법
본문내용
1.Subject: 산염기 표준용액 제조, 표정, 적정
º산, 염기의 정의
①. 아레니우스 이론
1880년대에 스웨덴의 화학자 Svante Arrhenius는 산을 수용액 속에서 H^+이온을 생성하는 물질로, 염기를 수용액에서 〖OH〗^-이온을 생성하는 물질로 정의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산(acid)는 물에 녹아서 H^+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크는 물질이다.
-염기(base)는 물에 녹아서 〖OH〗^-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물질이다
물에 매우 잘 용해되는 염화 수소(HCl) 기체는 Arrhenius 산의 대표적인 예로 이것은 물에 녹아 H^+과 〖Cl〗^-을 형성한다. Arrhenius 염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물에 녹아 〖OH〗^-과〖Na〗^+을 형성하는 수산화 나트륨(NaOH)이 있다.
하지만 아레니우스 이론은 수용액에서 일어나는 반응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H^+와〖OH〗^-를 내놓지 않아도 염기인 물질이 존재하는데 이는 아레니우스의 이론만으론 설명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실제로 H^+이온은 물분자의 산소 원자에 있는 비결합 전자쌍처럼 높은 전자 밀도를 갖는 것들과 강하게 상호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물분자와 상호 작용하여 하이드로늄 이온(Hydronium ion, H_3 O^+)을 형성하여 H^+이온의 상태가 아니다.
②.브뢴스테드-로우리 이론
1923년에 덴마크 화학자인 Johannes Bronsted와 영국의 화학자 Thoms lowry는 각각 더 일반적인 산과 염기 정의를 제시하여 아레니우스 이론의 한계를 보완 하였다. 그들은 산-염기 반응에서는 H^+이온이 한 물질에서 다른 물질로 이동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브뢴스테드-로우리이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산(acid)는 다른 물질에 양성자(H^+)를 주는 물질(분자나 이온)이다.
-염기(base)는 다른 물질로부터 양성자(H^+)를 받는 물질이다.
염화수소 기체가 물에 녹는 반응을 살펴보면 염화 수소기체는 물에 용해되면서 물분자에 H^+이온을 주면서 양성자 주개, 즉 산의 역할을 하고 물분자는 H^+를 받아 H_3 O^+가 되면서 양성자 받개로, 즉 염기로 작용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