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허혈성 뇌졸중 질환의 해부 및 생리, 검사 등
Ⅱ. 격리종류, 격리목적, 격리방법, 주의사항
Ⅲ. 접촉주의 병원성 감염균의 종류 및 특성
Ⅳ. 항생제의 종류, 작용, 부작용, 금기 등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뇌졸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혈관이 막히는 것으로 혈관에 의해 혈액을 공급받던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데, 이를 뇌경색 이라고 하며 허혈성 뇌졸중, 경색성 뇌졸중으로도 불린다. 둘째는 뇌혈관이 터지는 것으로 뇌 안에 피가 고여 그 부분의 뇌가 손상 당한 것으로 뇌출혈 혹은 출혈성 뇌졸중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허혈성 뇌졸중이 더 많다.
1. 해부 및 생리, 발생기전, 뇌경색 종류
뇌는 체중의 약 2%밖에 안되지만 분당 심박출량의 약 20%를 받으며 신체의 산소 소모량의 20%를 사용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뇌의 혈류는 윌리스 환을 통해 끊임없이 순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내경동맥은 주로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뇌간, 간뇌(시상과 시상하부)에 공급되며, 경동맥의 주요 가지들은 중대뇌동맥과 전대뇌동맥에 분포되어 있다. 척추동맥은 측두엽, 두정엽의 중간 및 아래부위, 뇌간, 간뇌 일부에 공급하는 혈관들이 있는 기저동맥과 문합된다. 기저동맥의 주요가지는 후대뇌동맥들이다. 윌리스 환은 뇌의 기저에서 전, 중, 후 대뇌동맥과 2개의 교통동맥으로 이룬다.
[뇌경색의 발생기전]
목 부분에 있는 경동맥, 척추-기저동맥에서부터 우리 뇌 안의 아주 작은 직경의 동맥까지 어디서든 혈관이 막힐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혈관이 지배하던 부위의 뇌가 괴사함으로써 지속적인 증상이 남게 된다.
2. 진단검사
1)이학적, 신경학적 검사
신경과 의사가 시진, 촉진, 타진을 비롯하여, 청진기, 망치, 바늘, 소리굽쇠 같은 여러 기구를 사용하여 환자를 진찰하게 되는데, 이로써 대체적인 뇌졸중의 위치를 짐작해 낼 수 있다.
2) 일반 검사
환자의 혈액 상태, 당뇨 여부, 심장, 신장 등의 기능을 알기 위한 피검사, 심전도, 흉부 x-선 등의 검사가 시행된다.
참고 자료
윤은자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윤은자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송경애 외 공저(2017),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수문사
서울아산병원, “뇌경색”,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96,
네이버 “표준주의”
https://ko.dict.naver.com/#/entry/koko/2a5121bb7fc0433faf0d6b68c4b04867
네이버 블로그, “격리종류와 방법”, https://blog.naver.com/kidney7/222111292792
질병관리청, “항생제의 종류 및 특성”, https://www.cdc.go.kr/nohas/aboutOH/resistant-bacteria.do?menuCtg=ctg01&menuId=menu01_2
네이버 포스트, “페니실린”, http://naver.me/Fz9yyuzf
네이버 카페, “항생제 분류”, https://cafe.naver.com/gmpalja/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