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최익현, 김옥균의 사상 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위정척사사상
① 위정척사사상의 대두
② 전개
③ 확대
2-2) 개화사상
① 개화사상의 형성
② 전개
③ 확대
2-3) 최익현 김옥균
① 최익현의 생애와 활동
② 김옥균의 생애와 활동
③ 최익현 김옥균의 사상비교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9세기 조선 왕조는 안팎으로 커다란 변화와 갈등에 직면하게 되었다. 안으로는 60년 간 계속된 세도정치로 국가의 정치 기강이 극도로 피폐해졌으며, 지방 토호와 삼정의 폐단으로 민생이 도탄에 빠지게 되었고 이후 경제, 사회적 변화에 따라 성장하고 있던 농민의식이 고조되어 각지에서 농민봉기가 빈발하였으며 밖으로는 식민지 확보를 노리는 서양 열강의 제국주의적 침략이 진행되었다. 이렇게 내부적인 모순과 외부 세력의 도전으로 인한 심각한 위기의식 속에서 특히 1870년대의 개항을 전후하여 몇 가지 서로 다른 대응논리가 대두되었다. 그 중에서도 주요한 사상적 대응으로는 전통사회의 변화를 거부하는 위정척사 사상과 전통사회의 해체조짐을 적극적으로 받아드리려는 진보적인 개화사상을 들 수 있다.
개화사상은 새로운 것을 개발하고 백성을 교화한다는 뜻으로 조선 후기에 성리학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서구 문물의 수용과 근대적 개혁을 주장했던 정치사상이다. 개화사상의 대표적인 인물인 김옥균, 박규수, 오경석 등의 영향으로 개화사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후 개화당의 세력 확대에 진력하였으며 문벌폐지, 신분제 폐지등과 자주근대화를 주장하였다.
위정척사 사상은 위정인 성리학과 성리학적 질서를 수호하고 척사인 성리학 이외의 모든 종교와 사상을 배척하자는 것으로 위정척사 세력들은 전통적인 사회 체제를 고수하는 것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개화사상에 반대하였다. 위정척사의 대표적인 인물인 최익현은 성리학 거두인 이항로의 위정척사 사상을 이어받아 발전시켜 자주적인 민족사상으로 체계화하였다.
이 처럼 혼란했던 19세기 말 조선에서는 같은 상황 속에서 서로 다른 인식을 가지고 서로 다른 논리를 보여주었던 위정척사 사상과 개화사상의 전개가 두드러진다. 본 보고서에서는 위정척사 사상의 대표적인 인물인 최익현과 개화사상의 대표적인 인물인 김옥균을 비교해보며 위정척사 사상과 개화사상이 어떻게 형성되고 전개되고 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 볼 것이다.
참고 자료
김낙진, 「조선말기 위정척사활동과 하동유학」, 진주교육대학교 경남권문화연구소, 2010.
최경숙, 「화서학파와의 위정척사운동 연구」, 경원대 교육대학원, 2004.
이택휘, 「1890년대의 사상사적 흐름」, 한국정치 외교사학회, 1995.
김상기, 「한말 위정척사 운동의 사상적 맥락1」, 한국근현대사학회, 1999.
한국근현대사학회, 『한국 근대사 강의, 한울 아카데미, 2007.
김옥균, 『갑신정변회고록』 건국대학교충판부, 2006.
박은숙, 『김옥균 역사의 혁명가』, 너머북스, 2011.
이광린, 『한국개화사연구』, 일조각, 1985.
신용하, 「초기 개화사상과 갑신정변연구」, 지식산업사, 2000.
이동희, 「한국 전통사상의 주체성 탐색과 미래 전망」, 동양철학연귀회, 2004.
최영,『근대 란국의 지식인과 그 사상』, 문학과 지성사, 1997.
윤남한. 『한국의 근대 사상』,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