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에는 인구의 약 1%에 가까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가 있고, 매년 많은 사람들이 새로 발병하리라 추정되고 있습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생하는 전형적인 연령층은 30대 전후의 여성이지만 여성이 폐경에 이르고 난 후에는 성별에 관계없이 남자에게도 발생하여 정확한 발병원인은 알 수 없지만 여성호르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예상하며 소아부터 노인에 이르는 모든 연령층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7년 충청투데이 일간신문 보도에 따르면, 2016년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5만 2300여명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전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70% 이상이 여성으로, 5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최근에는 30~40대의 젊은 환자도 많다. 대한류마티스학회 설문조사에 따르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가 병원을 방문해 진단을 받기까지 평균 20.4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류마티스 관절염을 일반적인 관절 통증으로 생각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 채 뒤늦게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비정상적인 면역 반응에 의해 관절 및 전신에 염증이 나타나면서 관절의 통증 및 부종을 일으킨다.
이러한 염증을 적절하게 치료하지 못할 경우 2년 이내에 관절이 손상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련 조사에 따르면 류마티스 관절염이 진단된 후 10년이 지났을 때 그 중 절반의 환자가 직장에서 일을 할 수 없었다고 한다.
이 연구로 50세 이상의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골다공증성 골절의 발생률, 골다공증성 골절 후 1년 사망률 및 표준화사망률이 일반 인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김해보건소 방분보건 이** 대상자의 류마티스관절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환자의 골다공증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자료
· 김해보건소 홈페이지 http://www.gimhae.go.kr/health/main/
· 김현호 외, RISS논문, 국민 건강 보험 공단 자료를 활용한 50세 이상의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골다공증 골절 발생률과 사망률, 2018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 대한의사협회 의약품정보
· http://www.snubi.org/~kma/new_kma/search.html?_p=ClassifyInfo2&Ingredient=%BD%C3%C5%AC%B7%CE%C6%F7%BD%BA%C6%C4%B9%CC%B5%E5&EffectNo=421&Formul=%B3%BB%BF%EB%B0%ED%C7%FC%C1%A6&Amount=50&Unit=MG
· 건강엔 잠이 보약인 이유 (삼성서울병원 건강상식, 삼성서울병원)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90855&cid=55605&categoryId=55605
· 김순금 외, 성인간호학Ⅱ, 여덟 번째 수정판, 수문사, 2017년
· 윤은자 외, 노인간호학, 수문사, 2018년
· 이재범기자, 충청투데이 일간기사, 2017년
· http://www.cc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07327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