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현이론성격과 고정관념에 대해 기술하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내현성격이론과 고정관념
- 최초 등록일
- 2020.11.04
- 최종 저작일
- 2020.1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내현이론성격
2. 고정관념
3.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내현성격이론과 고정관념
1) 내현이론성격
2) 고정관념
4. 시사점
Ⅲ.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브라운(R. Brown)에 따르면 집단간 갈등은 그 집단 구성원들의 자문화중심주의, 고정관념과 편견, 자원의 불공정한 분배나 한정된 자원에 대한 집단간 경쟁 등에 의해 초래된다고 하였는데, 이에 대해 민경환(1988)은 자문화중심주의는 집단간 갈등의 동기적 기반으로, 고정관념은 인지적 기반으로, 그리고 한정된 자원에 대한 집단간 경쟁은 사회적 기반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사회 문화적 학습이론에 의하면 고정관념이나 편견에 의한 인간의 행동은 처음부터 특정한 태도나 가치관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학교 선생님, 가족이나 친척, 친구, 대중매체 등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일상생활을 하는 생활장면 속에서 사회적 이슈에 대한 그들의 견해를 듣고, 눈으로 보면서 자기의 태도를 형성해 나간다고 한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내현이론성격과 고정관념에 대해 기술하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내현성격이론과 고정관념에 대해 분석해 보겠다.
Ⅱ. 본론
1. 내현이론성격
Freud(1959)는 저서인 「자기애에 관하여(On narcissism)」를 통해 자기애적 성격장애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자기애란 ‘심리적 에너지가 자신에게로 향해져 자신의 신체를 성적인 대상으로 취급하는 태도’ 이다. 이런 자기애 성향은 어린 시절에 나타나는 정상적인 속성이며, 성장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는데, 이 과정에서 성숙한 형태로 발전하지 못하면 병적인 자기애가 나타나게 된다고 한다.
Freud에 따르면, 유아는 양육자의 충분한 돌봄을 통해 전능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를 유아기적 자기애(infant narcissism) 혹은 일차적 자기애(primary narcissism)이라 한다. 그러나 유아가 점차 자신과 외부세계를 구별함에 따라 심리적 에너지가 자신이 아닌 타인에게 향하게 되는데 이를 대상애(object narcissism) 혹은 이차적 자기애(secondary narcissism)라 하였다.
참고 자료
김동배·권중돈(2013).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서울: 학지사.
강보영 (2014).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이성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세란 (2005).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와 정서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김향희(2017). 남녀대학생의 성역할태도와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기술교육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