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2개
자료 안에 문헌고찰, 약물정리, 시간 별 v/s, 간호정보조사지, 혈액검사 수치, 영상의학검사를 비롯하여 아주 꼼꼼하고 세세한 정보가 있습니다.
A+받은 자료이며 교수님 첨삭 후 완성본입니다.
컨퍼런스하면서 교수님한테 최초로 까이지 않은 자료이며 깊은 환자 이해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사례선정 동기
2. 구조와 특성
3. 병태생리
4. 원인
5. 증상
6. 진단검사
7. 치료
8. 간호
Ⅱ. 사례보고서
1. 간호정보조사지
2. 진단검사
3. 임상검사
4. 투약 정보
5.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사례 선정 동기
우리나라에서는 담석증의 발생빈도가 적었으나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로 인해 콜레스테롤 결석 등 담도결석이 증가하고 있다. 대한내시경 복강경 외과학회에 따르면 담석증은 65세 남성의 10%, 여성의 20%이상에서 보일 정도로 흔한 질환이 되었다. 이처럼 고콜레스테롤 음식을 즐기는 색생활, 앉아서 생활하는 좌식생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현대인의 생활패턴과 맞물려 담석증은 흔한 질병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담석으로 인한 담낭염 환자를 간호연구 사례로 선정하여 이 질병에 대하여 조사하고 깊이 이해하여 점차 증가할 담낭염 환자에게 올바른 간호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7월 21일부터 7월 28일까지 급성담낭염으로 안동성소병원 응급실을 내원하여 입원한 신OO님의 응급진료와 치료과정, 간호일지와 투약, 대상자의 임상검사 및 진단검사 등을 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며 진행하였다.
2. 구조와 특성
1) 담낭의 해부학적 위치 및 구조
담낭은 간의 우엽과 좌엽 사이의 오목에 붙어있는 7~10cm의 서양배 모양의 주머니로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담낭은 30~50ml정도의 담즙을 저장할 수 있고 최대 보유량은 100~150ml이며 12시간 동안 약 450ml의 담즙을 배출한다. 담낭은 해부학적으로는 기저부, 체부, 누두부, 경부로 나뉜다. 기저부는 담낭의 둥근 끝 부분이고 체부는 기저부와 누두부 사이로 담낭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누두부는 담낭의 경부와 체부의 사이를 말하며 경부는 누두부와 담관을 연결하는 부위로 S자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다. 담낭에서 나온 담관은 간의 간관과 합쳐져 총담관을 이룬다. 총담관의 쓸개즙은 오디괄약근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들어간다.
2) 담낭의 기능
담낭은 간에서 분비한 담즙을 저장하고 농축하였다가 음식물이 십이지장 내로 내려오면 담관(Cystic duct)으로 배출하여 총담관(Common Bile Duct)을 통과하여 십이지장 내로 담즙을 분비하여 지방의 소화, 흡수를 도와준다.
참고 자료
송경애 외(2017), 기본간호학Ⅱ, , 수문사, 파주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제 2판,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 상권 7th, , 현문사, 서울
Kenneth S. Saladin, Robin K. McFarland(2015), 핵심 인체구조와 기능, 최스미 외(역), 수문사, 파주
Meg gulanick, Judith L. Myers(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증보판, 박은영 외(역), 현문사, 서울
Susan Fickertt Wilson, Jean Foret Giddens(2018), 건강사정6th. 이강이 외(역), 현문사, 서울
세브란스병원, “담낭염 환자의 치료와 관리”,
국가건강정보포털, “담낭염”, http://health.cdc.go.kr/health,
드러그인포, “약 정보”, www.Drug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