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의 철학적 사상에 관한 논의 - 훈민정음의 역학사상과 제자원리를 중심으로 -
- 최초 등록일
- 2020.10.30
- 최종 저작일
- 2020.10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훈민정음의 철학적 사상에 관한 논의 - 훈민정음의 역학사상과 제자원리를 중심으로 -"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훈민정음 창제의 논의
1. 훈민정음 창제 배경
2. 훈민정음 해례본
Ⅲ. 훈민정음의 역학사상
1. 음양사상
2. 오행사상
3. 태극사상
4. 삼재지도
Ⅳ.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1. 초성의 역학적 특성
2. 중성의 역학적 특성
3. 종성의 역학적 특성
V.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인간은 사회생활을 하면서 공동체의 구성원과 철학적인 사유를 공유한다. 한 공동체가 공유하는 철학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작용하는 것이 바로 언어이다. 그러므로 언어와 철학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철학은 언어를 통해 만들어지고 언어를 통해 전개되며, 언어를 통해 발전해 나간다. 언어는 인간이 철학을 공유하는 방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언어와 철학은 하나의 사회 구성원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문화와 환경, 그리고 사유 방식을 반영하기 때문에 그 사회의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우리가 우리의 말과 글을 가지게 되었다는 사실은 한민족이 공유하고 있는 철학적 기반을 공공연하게 다지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1444년 훈민정음 창제가 가지는 의미도 여기에 있다. 세종 25년 음력 12월에 우리 민족의 언어로서 훈민정음이 창제되었고, 우리는 드디어 한민족이 공유하는 철학 사상을 반영한 고유의 문자 체계를 가지게 된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훈민정음이 가지는 철학성에 대해서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역학사상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훈민정음 창제의 논의
1. 훈민정음 창제 배경
조선왕조는 유학을 기본 이념으로 삼아 유교적인 이상과 규범에 따라 나라를 다스렸으며, 성리학은 유학의 한 형태로서 조선 유학사상의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므로 훈민정음 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당대의 사상적 배경 역시 송대의 신유학, 즉 성리학이었다. 성리학은 당시 유행하던 도가와 불교의 우주론을 수용한 주돈이의 『태극도설』을 그 전기로 한다. 주희는 주돈이의 태극사상, 정호의 천리사상, 정이의 성즉리사상 등을 흡수하여 성리학의 큰 틀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성리학은 이기론, 태극론, 심성정론, 성경론 등과 같이 형이상학적이고, 인간 수양 문제를 다룬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참고 자료
김만태,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역학사상 : 음양오행론과 삼재론을 중심으로」, 『철학사상』제45호,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2.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 - 이론편』, 교학연구사, 2012.
나찬연,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월인, 2012.
이선경, 「학산 이정호의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역리연구(易理硏究)에 대하여 : '훈민정음의 구조원리'를 중심으로」, 『유교문화연구』제13집,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유교문화연구소, 2009.
이성구, 「訓民正音 의 哲學的 考察 : 解例本 에 나타난 制字原理 를 中心 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84.
「제자해」, 『훈민정음 해례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