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추천] 복막염,충수염 간호학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0.10.30
- 최종 저작일
- 2020.10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강력추천] 복막염,충수염 간호학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충수염
1)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진단
5) 협동적 관리
2. 복막염
1)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진단
5) 협동적 관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국가고시 문제 출제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는 간호학 2-2-1 package 1를 통하여 소장·대장 질병의 종류 등의 틀을 잡을 수 있었다. 그에 따라 본 보고서에서는 충수염, 복막염에 대해, 더불어 그에 따른 간호에 대해 학습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충수염(appendicitis)
- 충수에 발생한 염증성 장 질환.
- 급성 복부 통증, 응급 복부 수술의 흔한 원인.
- 전체 인구의 10%에서 발생하며, 모든 나이에서 나타나지만, 청소년기나 젊은 연령층에서 자주 발생.
1) 원인
● 충수관강을 폐색시키는 대변돌(fecalith)
● 충수의 꼬임
● 장벽의 부종
● 장벽의 섬유 상태
● 유착에 의한 장의 외적 폐색
⤷ 예방 불가. 조기 진단 중요.
2) 병태생리
① 충수
● 관 모양의 주머니. 맹장에 붙어 있음.
● 회맹판막의 바로 아래, 오른쪽 엉덩뼈와 배꼽을 연결하는 선상에서 엉덩뼈가시(장골극)로 부터 5cm 안쪽인 맥버니점(McBuurney’s point) 부근.
● 유익한 장내 균의 저장소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
② 충수염
● 대부분 급성 충수염의 충수 근위 내관이 폐색되는 원인은 대변 덩어리, 이물질, 염증, 종양, 기생충, 결석, 림프조직 부종 등.
● 충수 폐색 시 점막에서 체액 분비 → 충수 팽만 → 관 내부 압력 증가 → 혈액공급 저하→ 염증, 부종, 궤양, 감염 발생.
● 24~36시간 이내 조직 괴사, 괴저 발생. 치료가 시작되지 않으면 천공 발생.
⤷ 천공은 복강을 오염시켜 세균성 복막염을 일으킴.
● 진행 과정에 따라 간단한 괴저성, 천공 상태로 분류.
⤷조직 괴사, 미세한 천공이 생길 시 괴저성 충수염.
③ 합병증
- 천공, 통증, 고열, 작고 국소화 된 농양, 국소화 된 복막염, 농양, 흔하지 않게 만성 복부
통증, 콩팥질환 등.
참고 자료
황옥남 외(2019). 성인 간호학. 현문사, p. 412~414
윤은자 외(2019). 성인 간호학 Ⅱ. 수문사. pp. 453~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