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ASE 성인간호학_응급실_실습_뇌전증(간질)_epilepsy_간호진단3_간호과정1"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문헌고찰
1. 질환명
2. 정의
3. 원인
4. 증상
5. 치료
6. 간호
II. 사례연구 응급실 시나리오 : - 1
1. 사례
2. 간호과정
본문내용
< 문헌고찰 >
질환명
뇌전증(epilepsy)
정의
발작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 인자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뇌전증 발작이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만성화된 질환이다.
원인
뇌전증의 원인은 유전, 성장 과정의 결함, 특발성 원인, 후천적인 원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후천적인 원인은 혈관부전증, 발열, 두부손상, 뇌졸중, 고혈압, 중추신경계 감염, 저산소증, 신부전, 저나트륨혈증, 저칼슘혈증, 저혈당증, 페스트균, 살충제에 의한 대사 성, 중독성, 뇌종양, 약물중단, 알레르기 등이 있다.
증상
1. 부분 발작
1) 단순 부분 발작(simple partial seizure)
대뇌 일부분에서 시작되며 대뇌 전반으로 퍼지지 않고, 의식이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쪽 손이나 팔을 까딱까딱하거나 입꼬리가 당기는 형태의 단순 부분 운동 발작, 한쪽의 얼굴, 팔, 다리 등에 이상 감각이 나타나는 단순 부분 감각발작..
<중 략>
사례연구 : 응급실 시나리오 - 1
< 사례 >
39세 남자인 000 환자는 alcoholic withdrawal seizure로 외래로 다니면서, Epilepsy 진단을 받고 치 료를 하면서 6개월 전 까지는 PO medication을 하였으나 그 이후 약을 먹지 않았으며, 최근 1 달 전부터 술을 많이 마셨고, 2일 전 새벽 1시경에 1분간, 그리고 응급실 내원 당일 날, 아침 에 약 5분간 seizure를 하여 2010년 5월 10일, 오전 9시경에 응급실을 방문 하였고, 방문 당시 환자 는 혀에 laceration이 있었다. 환자는 응급실 중증구역으로 입실하였으며, 환자 Mental alert 하고, 열이 많이 나서 춥거나 덥다고 의사 표현 잘하고 있으며, 간호사 말을 전부 알아들으며 obey command 잘되고 있다. 주치의는 환자를 본 후 Epileptic seizures related to alcohol without intractable epilepsy로 진단을 내렸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