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씨의안, 내과적요, 4비위휴손서습소상등증, 5간신비휴손두목이비등증, 6비폐신휴손소변자유림색등증.hwp 한문 및 한글번역
儒者楊文魁, 痢後, 兩足浮腫, 胸腹脹滿, 小便短少, 用分利之劑, 遍身腫兼氣喘。
유자 양문괴는 이질한 뒤에 양쪽 발이 붓고 흉복부가 창만하고 소변이 짧고 적어 분리하는 약제를 사용하며 온 몸이 붓고 숨이 찼다.
余曰:兩足浮腫, 脾氣下陷也;胸腹脹滿, 脾虛作痞也;小便短少, 肺不能生腎也;身腫氣喘, 脾不能生肺也。
내가 말하길 양발의 부종은 비기 하함이다. 흉복부 창만은 비허로 속 답답함이다. 소변이 짧고 적음은 폐가 신을 생성하지 못함이다. 몸이 붓고 숨이 참은 비가 폐를 생성하지 못해서이다.
用補中益氣湯加附子而愈。
보중익기탕에 부자를 가미하여 사용하여 나았다.
半載後因飲食勞倦, 兩目浮腫, 小便短少, 仍服前藥頓愈。
반년뒤에 음식 노권에 원인해 두 눈이 부종이 있고 소변이 짧고 적어 여전히 앞의 약을 복용하니 갑자기 나았다.
甲戌年七月, 余奉侍武廟湯藥, 勞役過甚, 飲食失節, 復兼怒氣。
武廟:①역대의 훌륭한 무신(武臣)들을 모신 사당(祠堂). ②중국 명(明)나라 무종(武宗)의 묘호(廟號)
갑술년 음력 7월, 내가 무종의 탕약을 시봉해 노역을 과다하여 음식이 절도를 잃어 다시 노기를 겸했다.
次年春莖中作痒, 時出白津, 時或痛甚, 急以手緊捻纔止, 此肝脾之氣虛也, 服地黃丸及補中益氣加黃栢、柴胡、山梔、茯苓、木通而愈。
*紧捻 : [섬유공학] 된꼬임(強撚) (영어: hard twist)
다음해 봄 음경이 가렵고 때로 백색 진액이 나오고 때로 혹 통증이 심하고 급히 손으로 꼬면 겨우 멎으니 이는 간비의 기가 허함이니 지황환과 보중익기탕에 황백, 시호, 산치자, 복령, 목통을 가미하여 나았다.
至丁酉九月, 又因勞役, 小便淋瀝, 莖痒竅痛, 仍服前湯加木通、茯苓、膽草、澤瀉及地黃丸而愈。
정유년 9월에 이르러서 또 노역에 원인해 소변이 임력하고 음경이 가렵고 구멍이 아프니 앞의 탕에다 목통, 복령, 용담초, 택사를 가미하고 지황환을 복용하여 나았다.
大尹顧榮甫, 尾閭作痒, 小便赤濇, 左尺脈洪數, 屬腎經虛熱, 法當滋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