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장이란?
(1) 형태 및 구조
심장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무게는 250~350g 정도이다. 두겹으로 이루어진 심낭막에 싸여있고, 심장의 표면으로는 심장혈관이 있다. 오른쪽과 왼쪽에는 각각 심방과 심실이 있고, 각 부분 사이에는 판막이 있다.
-심장의 동맥은 흔히 관상동맥이라고 하며, 심장동맥(관상동맥)은 심장의 근육층과 심장 바깥막에 혈액을 공급한다. 크게 분류하면 오른심장동맥(우관상동맥)과 왼심장동맥(좌관상동맥)으로 구성되는 심장동맥은 심장바깥막의 지방조직이 위치한 방향으로 나란히 심장 겉을 지나간다. 왼심방에서 오름대동맥이 이어지는 부위에서 오른심장동맥과 왼심장동맥 가지가 시작된다. 오른심장동맥은 오른심방에, 왼심장동맥은 왼심방에 혈액을 공급하며, 심실에는 두 개의 혈관과 함께 혈액을 공급한다.
(2) 기능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켜 생명을 유지될 수 있게 하며, 혈액은 심장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한 방향으로 순환한다. 심장의 왼쪽 부분은 산소와 영양분을 실은 신선한 혈액을 뿜어내는 역할을 하고, 오른쪽 부분은 각 장기를 순환하여 심장으로 들어오는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실은 혈액을 폐로 순환시켜 다시 사노를 받아들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2) STEMI vs NSTEMI
(1) STEMI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STEMI는 심근손상으로 심전도에서 ST분절의 상승을 가져온 것을 말한다. ST분절의 상승이 있다는 것은 심근조직이 심한 무산소증으로 세포 손상이 진행된 것을 말한다. 이런 경우는 대부분 플라그의 파열로 인한 혈전으로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 나타난 결과이다. 만약 20분 안에 혈류가 개통되지 않으면 심근 세포는 죽기 시작한다. St분절 상승은 보통 전층 심근경색과 관련이 있으며 후에 Q파가 출현한다. Q파는 세포죽음과 손상받은 근육기능의 영구적인 손상을 의미한다. 만약 초기에 치료되어 심내막하 세포손상만 있다면 Q파는 나타나지 않는다.
참고자료
· 조경숙 외 (2016) / 성인간호학(상) / 현문사
·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www.kslm.org/
· 드러그 인 포 https://www.druginfo.co.kr/
· 의학검색엔진 http://www.kmle.co.kr
· 경상대학교병원 EM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