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기본간호학, 유치도뇨관, 도뇨관리, 연구 추세, 국내논문, 국외논문

간호간호a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10.19
최종 저작일
2020.05
15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기본간호학, 유치도뇨관, 도뇨관리, 연구 추세, 국내논문, 국외논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개요 : 도뇨에 대하여
1) 도뇨의 정의 및 종류
2) 유치도뇨관 삽입의 적응증
3)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2. 실무에서의 도뇨 관리 및 간호중재
(1) 도뇨의 목적과 간호
(2) 유치도뇨관 관리체계
(3) 유치도뇨관의 올바른 삽입방법
(4) 유치도뇨관의 유지관리
(5) 유치도뇨관 관리에서 권고하지 않는 사항
(6)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CAUTI) 감염감시

3. 간호학에서 도뇨 관리와 관련된 연구의 추세

4. 도뇨 관리와 관련한 중재연구의 양상

5. 국내외 논문 소개

Reference

본문내용

1. 개요 : 도뇨에 대하여
1) 도뇨의 정의 및 종류
도뇨(Catheterization)는 소변을 제거하기 위해 요도를 통해 방광으로 도뇨관을 삽입하는 것을 말한다. 도뇨는 저항력이 약한 대상자에게 방광으로 미생물을 전파시킬 위험이 있고, 방광 내로 균이 유입되면 요관으로 상행해 신장을 감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뇨는 꼭 필요할 때만 적용하며 도뇨관 삽입 시 엄격한 무균술을 적용한다.
도뇨는 일회용 도뇨관으로 방광 내의 소변을 제거하기 위해 삽입하며 방광이 비워지면 즉시 도뇨관을 제거하고, 검사 목적 등 필요시마다 반복하는 간헐적 단순 도뇨와, 일정 기간 동안의 도뇨를 위해 도뇨관을 방광 내에 고정시키는 유치 도뇨가 있다.

Intermittent Urinary catheter
간헐적 도뇨관은 일회용 카테터라고도 하며, 요로 유지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방광이 제대로 배수되지 않는 경우 가장 일반적인 카테터이다. 이러한 카테터는 방광을 비우는 데 필요할 때 사용되며 사용 후 즉시 제거된다.

Indwelling Urinary Catheter
유치도뇨관은 Foley Catheter라고도 불리며, 일반적으로 장기 사용 시에 사용된다. 간헐적인 카테터와는 달리, 이러한 카테터는 장기간 방광 안에 머물면서 소변을 수거 백에 계속 배출한다. 일단 카테터를 방광에 삽입하면 멸균수로 부풀어 오른 풍선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다. 이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병원 환경에서 사용되는데, 수술시 사용하기도 한다. 요도를 통해 방광에 삽입되는 urethral indwelling catheter와 위장을 통해 방광에 직접 삽입되는 suprapubic indwelling catheter가 있다.

External Urinary Catheter
외부 도뇨관은 카테터를 적용하는 방법 때문에 흔히 콘돔 카테터라고 하며, 유사한 방식으로 페니스에 적용된다. 전형적으로 요실금 환자에게 사용되며 기저귀나 팬티의 훌륭한 대안이 된다. 일반적으로 라텍스나 실리콘으로 된 얇은 재질의 껍데기로 튜브와 채집백에 연결된 팁을 가지고 있다.

참고 자료

장성옥 외(2018). 기본간호학 이론서, 군자출판사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2011).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제4판, 한미의학
질병관리본부,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2017).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 145-150.
박윤미, 김영경(2005). 유치도뇨관 삽입 환자의 외요도구 간호 중재방법에 따른 요로감염의 차이, 임상간호연구. 11(1). 123-136.
최정실, & 연정화. (2012). 회음부 간호시 클로르헥시딘과 생리식염수 적용에 따른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발생률 비교. 기본간호학회지, 19(2), 223-232.
최은영, 송민선(2019). 중소병원 간호사의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감염관리 수행 영향 요인, 임상간호연구, 25(3), 301-313.
유소현(2016). 라벤더 향흡입이 대장암 수술환자의 유치도뇨관 제거 후 통증 및 배뇨증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외논문
이주애(2014). 다각적 중재활동이 의사의 손위생, 무균술, 보호장구 착용 이행과 의료관련감염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Markopoulos, G., Kitridis, D., Tsikopoulos, K., Georgiannos, D., & Bisbinas, I. (2019). Bladder training prior to urinary catheter removal in total joint arthroplas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89, 14-17.
Hernandez, M., King, A., & Stewart, L. (2019).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CAUTI) prevention and nurses’ checklist documentation of their indwelling catheter management practices. Nursing Praxis in New Zealand, 35(1), 29-42.
Holroyd, S. (2019). Indwelling urinary catheterisation: evidence-based practice.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33(5).
간호간호a
판매자 유형Silver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기본간호학, 유치도뇨관, 도뇨관리, 연구 추세, 국내논문, 국외논문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0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