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실험 이론
3. 실험
3.1. 실험장치 및 기구
3.2. 시약 및 시료
3.3. 실험방법
본문내용
1. 서론
유기화학 실험과정에서 가장 간단하게 생성물의 정제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인 박막 크로마토그래피의 절차와 기술을 익히고자 한다.
2. 실험 이론
크로마토그래피는 고정상에 따라 칼럼·페이퍼·박막 크로마토그래피로, 이동하는 혼합물에 따라 액체·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류된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는 유리관과 같은 원기둥 모양의 관에 산화알루미늄이나 이온교환수지 등을 충전한 것이다. 각 물질은 적당한 용리액을 흘림으로 각 성분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칼럼의 충전제로 산화알루미늄·활성탄·산화마그네슘 등을 사용한 것을 흡착크로마토그래피, 녹말·셀룰로스 등을 사용한 것을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한 것을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라 부른다.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란 흡착물질로 거름종이를 사용하는 크로마토그래피이다. 거름종이를 한쪽 끝에 놓고 시료를 놓아 전개제가 되는 용매의 모세관현상을 이용 스며들게 한다. 전개제가 스며들면서 시료 중 성분들도 이동하게 되는데, 각 성분의 이동속도가 다르므로 시간이 지나면 분리되게 된다. 각 성분의 빛깔로, 또는 이동률을 측정함으로써 성분을 알아낼 수 있다.
박막 크로마토그래피(TLC : thin layer chromatography)란 혼합물의 시료에서 매질 내의 이동도 차이를 이용하여 성분을 분리, 분석하는 방법의 일종이다. 유리판과 같은 기저 위에 얇고 균일하게 펼친 고정상을 만들고, 한쪽으로 용매를 이동시켜 물질의 이동률(Rf)에 따른 분리를 유도한다. 조작하는 방법은 한쪽 끝에 시료를 붙여 용매를 끝에서 스며들게 하여 용매 첨단과의 상대적 이동도로 물질을 구분한다. 흡착제로는 실리카겔·산화알루미늄·섬유소말·이온 교환 셀룰로스 등을 사용한다.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는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보다 전개 시간이 짧고 분리 능률이 뛰어나다. 강한 산·염기나 강렬한 시약을 발색시약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아주 적은 양으로도 시료를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고 자료
크로마토그래피 - Brown LeMay Bursten, 『Chemistry the central science 13th edition』, PEARSON, 2015, p.14
Peter Atkins, and Julio de Paula , 『핵심물리화학 5판』, 교보문고, 2011, p.141
다이클로로메테인 – SK Chemicals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다이클로로메테인, 2019년 10월 02일, https://www.skchemicals.com › CnR › MSDS_CnR_DICHLOROMETHANE
벤조산 – 대정화금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벤조산, 2019년 10월 10일, www.daejungchem.co.kr › customer › download02
O’Neil, Maryadele J. 외 5명 『The Merck Index : an encyclopedia od chemicals, drugs, and biologicals 15th edition』, RSCP Publishing, 2017, p.1093
나프탈렌 – 대정화금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나프탈렌, 2019년 10월 10일, www.daejungchem.co.kr › customer › download02
O’Neil, Maryadele J. 외 5명 『The Merck Index : an encyclopedia od chemicals, drugs, and biologicals 15th edition』, RSCP Publishing, 2017, p.6456
헥세인 – 한화 토탈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헥산, 2019년 10월 10일,
https://www.hanwha-total.com › Dext › file_down
에틸아세테이트 – 대정화금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에틸아세테이트, 2019년 10월 10일, www.daejungchem.co.kr › customer › download02
메탄올 - 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정보, 메틸 알코올, 2019년 10월 10일, http://msds.kosha.or.kr/kcic/msdsdetail.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