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관지염 case study(간호진단, 과정 5개)
- 최초 등록일
- 2020.10.17
- 최종 저작일
- 2020.09
- 2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소개글
깐깐한 교수님이라 간호과정이 잘 되어있습니다.
A+받은 자료이기도 합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세기관지염은 아이들만 걸리는 병이며,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최근 2년간 6세미만 소아의 의쵸 자료를 분석한 결과 65.3%가 호흡기 질환을 앓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유아 10명 중 6명이 호흡기 질환으로 병원을 방문했음을 의미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24개월 이하의 영유아에게 흔하고 이 연령대의 아이들이 걸렸을 때 입원하기 쉬운 질병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3개월 미만의 어린아이들에게서는 무호흡 및 호흡부전을 일으킬 수 있으며 만성폐쇄성폐질환 이나 선천성 심장기형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호흡부전으로 사망에 이르기도 하므로 주의가 필요한 질병이다. 따라서 영유아에게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세기관지염에 대해 문헌고찰을 하고 세기관지염을 진단받은 환아에게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를 사정함으로써 환아가 겪을 수 있는 간호문제를 발견하고 이에 다른 간호진단을 내려 대상자에게 적합한 간호 수행을 내리고 공부해보고자 이 질환을 선택하였다.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정의
폐포 바로 상부의 가장 작은 기관지 분지를 세기관지라고 하는데 세기관지염은 세기관지가 감염되어 염증 반응이 일어나 기도의 폐색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세기관지에 침범하는 질환 중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고 급성 바이러스 감염으로 겨울과 봄(10~3월)에 가장 많고 전염성이 강하다. 2~6개월의 영아에서 가장 흔히 보이며 3세까지 적어도 한번은 발병한다.
2) 병태생리
RSV는 기도의 상피세포에 주로 침범하고 기도의 섬모세포들은 부어서 내강쪽으로 튀어나오고 섬모가 없어진다. RSV는 감염된 세포막과 인접한 상피세포막을 융합시킴으로써 다핵의 거대세포를 형성하는데 이것을 융합체라고 한다. 따라서 점막이 부어오르고 내강은 점차 삼출액과 점액으로 가득 차게 된다.
기관지와 세기관지의 내벽은 염증세포로 침윤되고 세기관지 주변으로 간질성 폐렴이 나타난다. 내강의 상피세포가 수명이 다되면 세기관지로 떨어지며 그 결과로 세기관지의 폐쇄가 일어날 수 도 있다.
참고 자료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홍경자, 김은주 외 공저, 2016, p.455~459
서울대학교 건강정보-의학백과사전(영아기와 유아기), 세기관지염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변원-건강정보, 모세기관지염, 2010
MSD 매뉴얼-의학주제, 세기관지염, 2018
원광대학교 산본병원 쾌유-건강질환정보, 급성세기관지염
메디칼업저버 제약-제약단신, 세기관지염, 송병기, 2002